728x90

원문출처 : https://svrforum.com/os/288013

 

Proxmox 에서 사용하고있는 disk 외부로 꺼내는방법.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펜타네스트 @펜타네스트 169382 님께서 질문해주신 내부에서 사용중인 VM을 disk 형태로 꺼내서 마이그레이션 하는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Proxmox에서 스냅샷을 사용하기위

svrforum.com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펜타네스트 님께서 질문해주신 내부에서 사용중인 VM을 disk 형태로 꺼내서 마이그레이션 하는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Proxmox에서 스냅샷을 사용하기위해서는 lvm(btrfs)이나 ZFS를 사용해야합니다.
이경우에 VM의 가상디스크는 자동으로 Data 볼륨에 마운트 되기때문에 실제로 그 파일의 경로를 찾을수는 없는데요.


아래 방법을 통해 디스크의 논리적 위치를 확인하고 qcow2 파일로 떨궈서 보관하는방법을 진행하겠습니다.
보관장소는 NAS의 NFS를 사용하거나 외장하드를 사용하거나 편하신대로 하시면 되며 저같은경우 예를들기위해 작성하는거라 기본 셋팅된 lvm-local에서 진행하겠습니다.

 

1. 사용하고있는 VM의 확인하기.

먼저 백업할 디스크가있는 VM의 설정 -> 하드웨어로 가서
하드디스크의 위치를 확인해줍니다.

여기서는 local-lvm:vm-103-disk-0 이 되겠네요.
 

2. qcow 파일로 변환하기.

그다음 Proxmox Host의 쉘로 접근한뒤에 백업을 할 디렉터리로 이동해주시고 아래명령어를 통해 해당 vm disk의 논리적 위치를 확인해줍니다.

 

pvesm path [VMdisk 경로]

 

 

경로는 /dev/pve/vm-103-disk-0이 되겠군요.

 

이제 백업할 디렉터리로 이동해주신뒤에 qemu-img 명령어를 통해 파일로 떨궈줍니다.


qemu-img convert -O qcow2 -f raw [VM-Disk경로] [output.qcow2]

 

명령어가 잘실행되면 아래처럼 파일이 잘떨어집니다.

 

 

3. 로컬로 내려받기 and 복구방법.

이제 winscp를 통해 로컬로 내려받으시거나 보관하시면되며 여기서는 간단히 복구 방법도 기술해보겠습니다.

 

 

복구 방법을 테스트하기전에 기존에 디스크를 먼저 삭제해보겠습니다.

삭제 전 확인.

 

 

디스크 삭제

하드웨어 -> 하드디스크 -> 떼어내기 후 제거

 

이제 디스크가 완전히 사라졌으니 백업해놓은 qcow2파일을 마운트해보겠습니다.

 

 

마운트명령어는 아래와같습니다.

qm importdisk [vm번호] [import 파일위치] [스토리지위치]

 

ex) qm importdisk 103 /root/vm_bak/Ubuntu22_bak.qcow2 local-lvm

디스크 마운트가 잘되면 다시 VM의 하드웨어로 가서 확인 해줍니다.

 

편집을 누르고 디스크 순서에 맞게 넣어주고 추가.

 

 

디스크를 뺐다가 꼈기때문에 옵션 -> 부트 순서 에서도 디스크를 활성화 시켜주고 순서도 올려주셔야합니다.

 

 

VM 실행시 잘 접속되며 아까 백업 후에 만든 파일은 당연히(?) 없는것을 보실수있습니다.

 

 

 

참 힘든여정이였지만.. 안되는건 없습니다 ㅎㅎ

Proxmox의 백업/복구 기능을 이용하면 훨씬간단하니.. 가급적이면 그쪽으로 ㅎㅎ
ex) 백업 헤놀에 NFS를 켜고 Proxmox에서는 PBS 서버를 Guest로 구동 후 NFS를 붙이고 거기다 데이터를 보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끝-!

728x90

1. 기존 라우팅 정보 확인
sudo ip route

2. connection명 확인
sudo nmcli connection show

3. 임시설정(재부팅하면 초기화 됨)

유형 : route add -(net/host) [목적지 네트워크] netmask [넷마스크] gw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대역 추가>
sudo route add -net 10.10.20.0 netmask 255.255.255.0 gw 172.23.38.254
sudo route add -net 10.10.25.0 netmask 255.255.255.0 gw 172.23.38.254

<네트워크 대역 삭제>
sudo route del -net 10.10.20.0 netmask 255.255.255.0 gw 172.23.38.254
sudo route del -net 10.10.25.0 netmask 255.255.255.0 gw 172.23.38.254

<호스트 추가>
sudo route add -host 192.168.1.100 gw 192.168.1.1

<호스트 삭제>
sudo route del -host 192.168.1.100

4. 라우팅 영구설정
sudo nmcli con mod '프로파일 1' +ipv4.routes "10.10.20.0/24 172.23.38.254"
sudo nmcli con mod '프로파일 1' +ipv4.routes "10.10.25.0/24 172.23.38.254"

5. 연결 Reload
sudo nmcli con down enp19
sudo nmcli con up enp19

6. 서비스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728x90

원문출처 : https://engineer-1.tistory.com/entry/docker-Rocky-Linux-docker-docker-compose-%EC%84%A4%EC%B9%98

 

[Linux] Rocky Linux docker, docker compose 설치

docker :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docker compose : yaml 파일에 설정된 정의를 기반으로 다중 컨테이너 애플

engineer-1.tistory.com

 

 

docker :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docker compose : yaml 파일에 설정된 정의를 기반으로 다중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YAML :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기계가 해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는 표준화 형식을 제공합니다.  'YAML'은 'YAML은 마크업 언어가 아니다(YAML Ain't Markup Language)' 또는 '또 다른 마크업 언어(Yet Another Markup Language)'의 약어입니다. (참조 : https://www.ibm.com/kr-ko/topics/yaml)

yaml 파일에(docker-compose.yml) MinIO (Minimal Object Storage), MC (MinIO Client) 두 개의 서비스를 정의하고(차후 포스팅), docker compose로 한 번에 실행(docker compose up -d)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우선 docker와 docker TooL 인 docker compose를 설치하는 방법을 기재하겠습니다.

환경 : Rocky Linux 8.9

 

dnf : Rocky Linux는 기존 리눅스의 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인 yum을 개선한 패키지 관리 도구로 dnf(Dandified YUM)를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dnf는 RHEL/CentOS 8부터 정식 도입 되었으며, 기존 yum을 사용해도 되고, dnf(yum과 같은 용법)를 사용해도 됩니다.

docker 설치

1. dnf-utils 설치 (dnf config-manager 사용 시 필요) 

**전체 명령어 root 권한으로 수행

# dnf install dnf-utils -y

2. docker 레포지토리 추가 

참고 : Rocky Linux에서 # yum install docker로 설치하게 되면, podman-docker 가 설치된다. podman(RHEL 컨테이너 실행/관리 도구)

# dnf 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3. 레포지토리 리스트 확인 (목록 중 'docker-ce-stable' 을 확인하면 된다.)

# dnf repolist -v

4. docker 설치

**충돌하는 패키지(ex podman, podman-docker) 를 제거하려면 --allowerasing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 dnf install -y docker-ce --allowerasing

[root@test ~]# docker --version
Docker version 26.0.1, build d260a54

5. docker 구동 & 활성화 (enable 서버 재부팅때 자동 시작)

# systemctl status docker
# systemctl start docker
# systemctl enable docker

docker compose 설치

참고 : docker 설치시 'docker-compose-plugin'도 동시에 설치된다.

[root@test ~]# docker compose version
Docker Compose version v2.26.1


docker compose가 설치가 안됬을 경우, docker 설치와 비슷한 과정으로 설치하면 된다.

1. 패키지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 dnf check-update

2. docker 레포지토리 확인 후 설치

# dnf repolist -v
# dnf install docker-compose-plugin


docker 컨테이너 실행 확인(별다른 컨테이너를 실행하지 않았을 경우 아래와 같은 유사한 내용만 출력)

#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참고) Linux 일반 사용자에게 docker 사용 권한 부여

docker 그룹 확인

# cat /etc/group
docker:x:986:

test-user에게 권한 부여

# usermod -aG docker test-user
-a, --append 
-G, --groups GROUPS

 

권한 부여 전

[test-user@test ~]$ docker ps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Get "http://%2Fvar%2Frun%2Fdocker.sock/v1.45/containers/json":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권한 부여 후

[test-user@test ~]$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Rocky Linux docker 설치 참조 하였습니다.

https://hahahax5.tistory.com/10

728x90

1. 백업

 1-1. 디렉토리 백업

  $ cd /var/www/html/     (Rhymix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
  $ tar -cvf rhymix_backup.tar ./html    (html디렉토리를 backup.tar 파일로 압축)


 1-2. mysql 데이터베이스(DB) 백업

 

  $ mysqldump -u root -p rhymixdb > rhymixdb_backup.sql (Rhymix가 설치된 DB이름(rhymixdb)를 rhymixdb_backup.sql 로 백업한다)
  Enter password: (mysql 패스워드 입력)
 
 1-3 백업된 rhymix_backup.tar, rhymixdb_backup.sql 파일을 FTP등으로 옮겨 따로 보관한다
 

2. 복원

 2-1. FTP 등으로 이전할 서버에 rhymix_backup.tar, rhymixdb_backup.sql 백업파일을 전송한다.

 

 

 2-2. 디렉토리 복원

  $ cd /var/www/html/    (Rhymix를 복원할 경로 : 복원할 rhymix_backup.tar 파일은 /var/www/html/에 있어야 한다. )
  $ tar -xvf rhymix_backup.tar  (Rhymix 설치 디렉토리 html 디렉토리 압축해제) 

 


 2-3. 데이타베이스(DB) 복원

   $ mysql -u root -p    (mysql에 로그인)
    MariaDB [(none)]>create database rhymixdb;   (mysql에 rhymixdb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MariaDB [(none)]>exit                                (Bye)

   $ mysql -u root -p rhymixdb < rhymixdb_backup.sql  (Rhymix 데이터베이스에 rhymixdb_backup.sql 복원)
      Enter password:                                 (mysql 패스워드)

728x90

원문출처 : https://foxydog.tistory.com/117

 

Rocky Linux - 라이믹스(Rhymix) 설치하기

Rhymix란? 라이 믹스는 PHP 기반의 오픈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및 프레임워크입니다. 현재는 개발이 중단된 XE1버전의 가지치기 포크(Frok)로 별도 개발된 프로젝트이며 누구나 무료로 사용 및

foxydog.tistory.com

 

Rhymix란?

라이 믹스는 PHP 기반의 오픈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및 프레임워크입니다. 현재는 개발이 중단된 XE1버전의 가지치기 포크(Frok)로 별도 개발된 프로젝트이며 누구나 무료로 사용 및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자유 소프트웨어입니다. 라이 믹스는 "시를 짓다, 운을 맞추다"라는 의미의 "rhyme"과 "조합하다, 변주하다"라는 의미의 "remix"를 합친 이름이라고 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 https://rhymix.org
설치 매뉴얼 : https://rhymix.org/manual

설치환경 및 준비물

릴리즈 설치 테스트 : 2022-07-12

□ VMware Workstation 가상화에서 Rocky Linux 8.6 OS 준비 [포스팅 참고]

□ [root@localhost ~]# dnf update [※ OS 설치 후 기본 패키지 최신 업데이트]

□ [root@localhost ~]# cat /etc/selinux/config | grep SELINUX  [보안 설정]

SELINUX=disabled  [빠른 테스트를 위해 비활성화, 서버 재시작 필요]

 

□ Rhymix 현재 릴리스 버전으로 요구하는 사항

Rhymix 2.0.21  (2022-07-04 기준)
Apache(Httpd) 또는 Nginx 버전은 언급하지 않음 (mod_rewrite 권장하나 필수는 아님)
PHP 7.2 이상 (권장사항은 7.4 이상) / 필자는 PHP 8.0 으로 진행
PHP 모듈(필수) curl, gd, iconv (mbstring), json, mcrypt (openssl), PDO_MySQL
SimpleXML, Zend OPcache
PHP 모듈(권장) apcu (캐시 사용을 통해 성능 향상 가능)
exif (이미지 자동 회전 기능에 필요)
fileinfo (첨부파일 보안 검사에 필요)
intl (한글도메인 사용시 성능 향상 효과 있음)
zip (추후 필수 모듈로 지정될 가능성 있음)
MariaDB 또는 MySQL MariaDB 버전 언급은 없음, MySQL은 5.0.7 이상

STEP01 → 아파치[Apache] 설치

[root@]# dnf install httpd


STEP02 → 마리아[Maria DB] 설치

[root@]# dnf install mariadb-server mariadb


STEP03 → PHP 설치[8.0 이상]

① 사용 가능한 PHP 버전 확인

※ Rocky 8.6 버전부터는 기본 저장소에 PHP 8.0 버전이 업데이트되어 해당 버전으로 설치 진행

※ 하위 OS라면 PHP 7.4 버전으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root@]# dnf module list php

② PHP [8.0]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활성화 설정

※ 기존 모듈을 제거하고 재설정 하는게 좋다는 메시지가 나오므로 다음과 같이 먼저 진행합니다.

[root@]# dnf module reset php:7.2    [기존모듈 제거]

[root@]# dnf module enable php:8.0    [8.0 모듈 활성화]

③ PHP [8.0] 설치

[root@]# dnf install php

④ Rhymix에 필요한 PHP-모듈(필수) 설치

[root@]# dnf install php-curl php-gd php-iconv php-mbstring php-json php-openssl php-pdo_mysql php-simplexml php-opcache

⑤ Rhymix에 필요한 PHP-모듈(권장) 설치

[root@]# dnf install php-apcu php-exif php-fileinfo php-intl php-zip

⑥ 설치된 PHP 모듈 확인

[root@]# php -m | egrep -i "curl|gd|iconv|mbstring|json|openssl|pdo_mysql|simplexml|Zend opcache|apcu|exif|fileinfo|intl|zip"


STEP04 → 설치 버전 확인

[root@]# httpd -v
Server version: Apache/2.4.37 (rocky)
Server built:   Jun 22 2022 14:17:54

 

[root@localhost ~]# php -v
PHP 8.0.13 (cli) (built: Nov 16 2021 18:07:21) ( NTS gcc x86_64 )
Copyright (c) The PHP Group
Zend Engine v4.0.13, Copyright (c) Zend Technologies
    with Zend OPcache v8.0.13, Copyright (c), by Zend Technologies

 

[root@localhost ~]# mysql -V
mysql  Ver 15.1 Distrib 10.3.32-MariaDB, for Linux (x86_64) using readline 5.1


STEP05 → 아파치(Apache) 및 PHP(PHP.ini) 설정 및 구동

① Apache 기본 설정[수정 후 저장]

[root@]# vim /etc/httpd/conf/httpd.conf

 

#ServerName www.example.com:80

ServerName 192.168.150.153:80    [도메인 또는 해당 서버 IP 입력 추가]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 index.php    [일부 추가]
</IfModule>

 

AddType application/x-compress .Z
AddType application/x-gzip .gz .tgz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라인 추가]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 .phps    [라인 추가]

② PHP.ini 기본 설정[수정 후 저장]

[root@]# vim /etc/php.ini

 

session.auto_start = off    [변경]

upload_max_filesize = 2M    [기본 설정]

post_max_size = 8M    [기본 설정]

memory_limit = 128M    [기본 설정]

 

※ 기본 설정입니다. 서버 환경에 맞게 용량 수정 하면 됩니다.

※ 단, upload_max_filesize 보다 post_max_size 가 더 커야 하며, post_max_size 보다 memory_limit 값이 더 커야 합니다.

※ 라이믹스는 대용량 파일을 분할 업로드하는 것을 지원하므로 업로드 용량이 10M 이상 주어지기만 하면 서버 용량 내에서 사실상 무한대로 업로드가 가능

※ 대용량 이미지 처리가 필요한 사이트라면 memory_limit가 256M 설정 필요

③ PHP-FPM 기본 설정[수정 후 저장]

[root@]# vim /etc/php-fpm.d/www.conf

 

listen.acl_users = apache,nginx    [유지]
listen.acl_groups = apache    [라인 추가]

④ 아파치/PHP-FPM 시작 및 프로세스 구동 확인

[root@]# systemctl start httpd    [시작]

[root@]# systemctl start php-fpm    [시작]

 

[root@]# systemctl enable httpd php-fpm    [부팅 후 자동 실행 설정(비활성화 시 disable)]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httpd.service → /usr/lib/systemd/system/httpd.service.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php-fpm.service → /usr/lib/systemd/system/php-fpm.service.

 

[root@]# ps -ef |egrep "httpd|www"  [아파치/PHP-FPM 구동 확인]

⑤ 방화벽 설정 및 적용

[root@]#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HTTP 80번 포트 추가]

success

[root@]# firewall-cmd --reload    [적용]

success

[root@]# firewall-cmd --list-all    [추가된 포트 확인]

ports: 80/tcp

 

⑥ 웹 구동 확인 테스트[스크린샷 참고]

⑦ PHP 적용 확인

[root@]# cd /var/www/html/

 

해당 경로에서 PHP의 정보를 보여주는 함수 파일 생성 후 저장
[root@]# vim /var/www/html/phpinfo.php

 

<?php phpinfo();?>      [라인 추가]

[root@]# ls

phpinfo.php    [파일 생성 확인]

 

⑧ PHP 웹 연동 확인 테스트[스크린샷 참고]


STEP06 → MariaDB 구동 및 설정

① MariaDB 구동

[root@]# systemctl start mariadb

 

[root@]# systemctl enable mariadb    [부팅 시 자동 시작 활성화(비활성화 disable)]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ysql.service → /usr/lib/systemd/system/mariadb.service.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ysqld.service → /usr/lib/systemd/system/mariadb.service.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mariadb.service → /usr/lib/systemd/system/mariadb.service.

 

[root@]# ps -ef | grep mysql     [구동 확인]

mysql    /usr/libexec/mysqld --basedir=/usr

② Maria DB 기본 설정 [DB가 구동된 상태에서 진행 가능]

[root@]# mysql_secure_installation

 

Enter current password for root (enter for none): [패스워드가 없기 때문에 엔터]

 

◇ 유닉스 소켓 관련 메시지는 10.4 버전 이상에서 나옵니다.

Switch to unix_socket authentication [Y/n] Y    [MariaDB 실행 시 통신 소켓 생성 여부? Y 엔터]

Change the root password? [Y/n] Y   [DB ROOT 패스워드 설정할 것인가? Y 엔터]

New password:  패스워드 입력

Re-enter new password:  재확인 패스워드 입력

Remove anonymous users? [Y/n] Y  [익명의 접근을 막을 것인지? 보안을 위해 Y 엔터]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Y/n] Y  [DB ROOT 원격을 막을 것인지? 보안을 위해 Y 엔터]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Y/n] Y [Test 용으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할 것인가? Y 엔터]

Reload privilege tables now? [Y/n] Y [현재 설정한 값을 적용할 것인지? 당연히 Y 엔터]
Thanks for using MariaDB! [설정 완료]

③ MariaDB 접속 및 Rhymix 데이터베이스 생성

◇ 데이터베이스 이름이나 유저 ID/패스워드는 임의로 설정

 

[root@]# mysql -u root -p  [DB 접속]
Enter password패스워드 입력

◇ Rhymix 데이터베이스 생성 :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MariaDB [(none)]> CREATE DATABASE rhymixdb;
Query OK, 1 row affected (0.000 sec)

 

◇ 접근 유저 ID 및 패스워드 생성 : CREATE USER '유저 ID'@'localhost' IDENTIFIED BY '패스워드';
MariaDB [(none)]> CREATE USER 'rhymix'@'localhost' IDENTIFIED BY 'test1234';
Query OK, 0 rows affected (0.037 sec)

 

◇ 접근 권한 설정[모든 권한] : GRANT ALL ON 데이터베이스 이름.* TO '유저 ID'@'localhost';
MariaDB [(none)]> GRANT ALL ON rhymixdb.* TO 'rhymix'@'localhost';
Query OK, 0 rows affected (0.000 sec)

 

◇ 저장 종료
MariaDB [(none)]>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00 sec)

MariaDB [(none)]> EXIT;
Bye


STEP07 → Rhymix 다운로드

◇ 공식 홈페이지 다운로드 : https://rhymix.org/news

◇ 또는 Git허브에서 다운로드 : https://github.com/rhymix/rhymix

※ Git으로 다운로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매뉴얼에 따라 편한 것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root@]# wget https://rhymix.org/files/attach/releases/rhymix-2.0.21.zip    [wget 다운로드]

rhymix-2.0.21.zip’ saved [14189999/14189999]

 

[root@]# unzip rhymix-2.0.21.zip    [ZIP 압축해제]

 

[root@]# mkdir rhymix/files    [압축해제 경로에 미리 Files 폴더 생성]

 

[root@]# cp -R rhymix /var/www/html/rhymix    [웹 루트 경로에 복사 또는 이동]

 

[root@]# chown -R apache:apache /var/www/html/rhymix    [유저/그룹 권한 설정]

[root@]# chmod 777 /var/www/html/rhymix/files    [Files 권한 설정]

※ 서버 환경에 따라 777 또는 707 퍼미션을 부여합니다.


STEP08 → Rhymix용 Apache 가상 호스트 구성 및 적용

[root@]# vim /etc/httpd/conf.d/rhymix.conf    [파일 생성 후 저장]

 

<VirtualHost *:80>    [시작]

ServerName 192.168.150.153    [도메인 호스트 주소 또는 서버 IP]

ServerAdmin foxydog@localhost

DocumentRoot /var/www/html/rhymix

<Directory "/var/www/html/rhymix">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ErrorLog /etc/httpd/logs/rhymix_error.log

CustomLog /etc/httpd/logs/rhymix_access.log common

</VirtualHost>    [끝]

[root@]# systemctl restart httpd    [재시작 적용]

 

[root@]# systemctl status httpd | grep active    [구동 확인]
   Active: active (running) since Wed 2022-07-13 04:32:15 EDT; 4s ago


STEP09 → 브라우저에서 Rhymix 설정 및 설치[스크린샷 순서대로 진행]

 http://서버IP 입력


마치며

앞서 설명하였듯이 기본 베이스는 XE1(Xpress Engine.ver1) 이므로 해당 게시판을 운영을 해보았다면 비슷한 부분이 많아 개발 및 운영이 좀 더 익숙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워드프레스보다는 좀더 친숙한 느낌이 드네요. 실제로도 운영하는 서버가 있어 관리하기가 좀더 편합니다. 개발자분들께서 최적화가 좀더 진행이 되었는지 VMWARE에서 기본 2코어/2GB 메모리만 할당하였음에도 엔진이 가볍다는 느낌이 듭니다. 웹 개발자로 공부하시는 분들은 개인 PC 가상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설치하여 연습하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FortiGate에서 아래와 같이 외부(all)에서 내부(all)로의 정책(ID 15)을 차단으로 설정했지만, VIP 정책(ID 14)은 차단되지 않고 허용된다.

 

FortiOS에서는 VIP 객체와 Firewall Address 객체는 완전히 다른 객체로 판단하다. 즉 Firewall Address 객체인 "all" 과 VIP 객체인 "VIP_eBT_FAZ" 객체는 서로 다른 별개의 영역으로 판단하게된다. 따라서 "VIP_eBT_FAZ"접속하는 트래픽은 "all"에 매칭되지 않고, ID 15 정책에 의해 허용된다.

 

차단하려면 VIP 객체에 대한 차단 정책을 생성해야 한다.

 

또는 ID 15 정책에 아래와 같은 옵션을 추가하여, VIP 객체에 대해서도 매칭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

 

문제 해결 팁: VIP 트래픽이 '모든' 대상을 포함하는 방화벽 정책과 일치하지 않음

설명 이 문서에서는 VIP 트래픽이 대상이 '모두'로 설정된 방화벽 정책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범위 FortiGate v7.2.2 및 이하.
해결책 가끔 'WAN'에서 'LAN'으로 방화벽 정책을 생성할 때 목적지를 '모두'로 설정하면 VIP 트래픽이 정책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이 '거부'로 설정되어 있어도 허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정책은 VIP 객체 트래픽이 호출되는 경우에만 VIP 객체 트래픽과 일치합니다. 대상이 '모두'인 경우에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정책과 일치하려면 해당 정책의 CLI 구성에서 'set match-vip enable'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그 후 VIP 트래픽은 정책과 일치하고 의도한 대로 거부됩니다.


메모 :
FortiGate는 먼저 DNAT 검사를 수행한 다음 보안 정책을 적용하기 때문에 대상 주소 객체는 VIP 객체의 '매핑된 IP'여야 합니다. 
 





메모:
  • match-vip 옵션은 v7.2.3까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됩니다. 7.2.3 이후 버전에서는 옵션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됩니다.
  • 'set match-vip' 옵션은 정책 작업이 'deny'로 설정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원문출처 : https://svrforum.com/recent/1914952

 

RouterOS 입문 가이드 : RouterOS 및 부트로더 업그레이드 하기

개요 본 가이드에서는 미크로틱(마이크로틱) 라우터 및 CRS 스위치 제품군에서 RouterOS와 부트로더의 버전을 이해하고,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RouterOS에는 WinBox

svrforum.com

 

개요

본 가이드에서는 미크로틱(마이크로틱) 라우터 및 CRS 스위치 제품군에서 RouterOS와 부트로더의 버전을 이해하고,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RouterOS에는 WinBox 또는 FTP, SCP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WinBox로 전송하는 방법만 다룹니다.

 

또한 RouterOS v7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기존 v6에서는 추가 및 번들 패키지 종류가 다를 수 있으나 이미 사장되어 가는 구식 커널 기반 OS이므로 해당 설명은 제외하였습니다.

 

 

RouterOS가 설치된 MikroTik 제품을 처음 접하신다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버전 정보가 여러가지 표시되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당장 현시되는 버전 정보만 다섯 가지나 되는데,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 보면 약간 기괴하게 느껴집니다.

 

  • 왼쪽에 표시되는 버전은 7.16.2인데 오른쪽에 표시되는 현재 버전은 7.15.3입니다.
  • 현재 설치된 버전은 7.16.2일까요? 아니면 7.15.3?
  • 그런데 오른쪽의 업그레이드 버전은 7.16.2이니까 동일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야된다는 걸까요?

 

지금 혼란스러우시다면, 이 가이드를 꼭 읽어보셔야 합니다!

 

그래서... 미크로틱 개발자들은 변태 성향이라 사용자를 괴롭히는 걸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이를 모르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각각의 버전 정보는 MikroTik 장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해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분

미크로틱 RouterOS 장비는 크게 두 가지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구동됩니다.

  • RouterOS
    • RouterBOARD 장치용 Linux 기반 OS 및 라우팅 소프트웨어
  • RouterBOOT
    • RouterBOARD 장치용 부트로더 및 펌웨어
    • 부팅시 RouterOS 구동 및 장치의 Low-Level 설정 제어

 

RouterBOARD의 의미

 










 


 

소프트웨어 버전 확인하기

RouterOS 버전 확인하기

 

 

WinBox 우측 메뉴에서 System - Resource를 순서대로 누릅니다.

  • A. Version
    • 현재 설치 및 구동 중인 RouterOS의 버전과 출시 정보가 표시됩니다.
  • B. Factory Software (중요)
    • 해당 장치가 지원하는 가장 오래된 버전을 표시합니다.
    • 해당 장치는 반드시 해당 버전과 동일하거나 이후에 출시된 RouterOS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이는 해당 기종에 맞는 드라이버나 여러 리소스 지원이 추가된 버전의 RouterOS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동일 모델이라도 하드웨어 리비전에 따라서 개정 사항이 반영된 OS 및 부트로더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인텔 8세대 이후의 컴퓨터에서 윈도우 XP나 7을 지원하지 않는 것처럼, 미크로틱 장비 또한 구동할 수 있는 구형 OS 버전에 한계가 있습니다.

 


 

설치된 패키지(Package) 종류와 버전 확인하기

 

 

1. WinBox 좌측 메뉴에서 System - Packages를 차례대로 누릅니다.

 

 

 

2. Package List 창이 표시되며, 여기서 RouterOS를 크게 두 가지 패키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A. routeros - Main Package / System Package (시스템 패키지)
    • RouterOS의 필수 시스템 패키지입니다.
    • 해당 장치의 CPU 아키텍처에 따라 구분되어 제공됩니다. (arm / arm64 / tile / mmips / mipsbe 등)
    • v7.12까지는 와이파이 제어 인터페이스가 wifiwave2라는 추가 패키지로 지원되었지만, v7.13부터는 시스템 패키지에 통합되어 WiFi 메뉴로 제공됩니다.
  • B. Extra Packages (추가 패키지)
    • RouterOS의 기능 추가를 위한 선택형 패키지입니다.
    • Extra Package는 각 기능에 특화되어 개별 패키지로 제공되며, 사용자 필요나 용도에 따라 별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Container 패키지를 설치하면 RouterOS에서 리눅스 컨테이너 기능이 지원되고, User Manager 패키지를 설치하면 RouterOS에 중앙 집중식 인증 서버(RADIUS)를 구축할 수 있으며, Zerotier 패키지를 설치하면 제로티어 엔드포인트 기능이 추가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부분은, 언제나 각 시스템 패키지 버전에 맞는 추가 패키지가 제공 및 배포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7.15 버전의 시스템 패키지와 및 추가 패키지가 설치된 라우터를 7.15.2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반드시 해당 버전의 시스템 패키지와 추가 패키지 파일을 모두 라우터에 업로드 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버전의 추가 패키지만 설치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설치된 시스템 패키지와 동일한 버전의 추가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절차가 거부되고, 기존의 패키지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RouterBOOT 버전 확인하기 

 

 

WinBox 우측 메뉴에서 System - RouterBOARD를 순서대로 누릅니다. 

 

  • C. Factory Firmware
    • 공장 제조시 해당 장치에 내장시킨 백업 부트로더(RouterBOOT)의 버전입니다.
  • D. Current Firmware
    • 현재 설치되어 사용 중인 RouterBOOT의 버전입니다.
  • E. Upgrade Firmware
    • 현재 설치된 버전과 다른 RouterBOOT 펌웨어가 발견되면 해당 버전을 표시합니다.

 

Factory Firmware와 Current Firmware 버전이 서로 다른 경우

  1. 새로 구매한 장비라도 Factory Firmware와 Current Firmware의 버전이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Current Firmware는 기설치된 RouterOS와 동일한 버전으로 설치되며, Factory Firmware는 해당 장치에서 오랜 시간 검증된 버전으로 설치하여 출하하기 때문입니다. 

  2.  현재 사용 중인 부트로더인 Current Firmware는 사용자가 원할 때 얼마든지 업그레이드 또는 다운그레이드 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Factory Firmware는 자유롭게 업그레이드 할 수 없습니다.

    비교적 최근(2022년)에 Factory Firmware 업그레이드가 허용된 사례는 '보호된 부트로더(Protected)'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 였는데, 이 또한 최근 생산/출하되는 기기에는 해당 없으며 특별한 소정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해당 절차를 요약하면, Factory Firmware가 v7.6 미만 또는 v6.x 버전인 기종에서 Factory Firmware 쓰기 제한이 해제된 특정 버전(v7.6 또는 v6.49.7)의 RouterOS를 설치한 뒤 별도의 범용 패키지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Factory Firmware를 변경하는 경우는 드물며, 현재 부트로더가 손상되었을 때 사용되는 보루에 가까우므로 애초에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없습니다.

 

 


 

RouterBOOT를 업그레이드 해야 하나요?

 

모든 RouterOS 패키지에는 해당 버전에 맞는 RouterBOOT 부트로더(펌웨어)를 포함하여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RouterOS v7.16.2 버전의 npk 패키지에는 이미 v7.16.2 버전의 RouterBOOT가 함께 포함된 것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RouterBOOT는 RouterOS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자동 적용되지 않으며 항상 개별 적용해야 합니다.

 

'신규 펌웨어를 함께 제공하지만 설치는 개별'이라는 부분을 이해하기 어려우실 수 있으나, 윈도우 업데이트와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서로 구분되는 것처럼 RouterOS와 RouterBOOT 또한 서로 다르게 구분해야 합니다.

 

또한, 반드시 두 버전이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 OS와 부트로더의 버전이 서로 다르더라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RouterBOOT의 존재를 모르거나 업그레이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RouterBOOT 업그레이드를 권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래는 RouterOS v7의 변경 사항 중 일부입니다.

 

What's new in 7.10 (2023-Jun-15 08:17):

*) routerboard - fixed memory test on CCR2116-12G-4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ard - improved RouterBOOT stability for Alpine CPU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ot - increased "preboot-etherboot" maximum value to 30 second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What's new in 7.11 (2023-Aug-15 09:33):

*) routerboard - fixed "gpio-function" setting on RBM33G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ard - improved RouterBOOT stability for Alpine CPU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ard - removed unnecessary serial port for netPower16P and hAP ax lite device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ot - increased etherboot bootp timeout to 40s on MIPSBE and MMIPS device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What's new in 7.16 (2024-Sep-20 16:00):

*) routerboard - improved Etherboot stability for CRS320-8P-8B-4S+ device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ard - improved Etherboot stability for IPQ-40xx device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 routerboot - improved boot process ("/system routerboard upgrade" required);
복사

 

새로운 버전의 RouterBOOT에는 일반적으로 RouterBOARD의 전반적인 동작 안정성을 위한 개선 사항이 포함됩니다.

 

또한 변경 사항에 명시된 개선 사항 외에도 명시하지 않은 개선 사항이 있을 수 있는데, 경험상 이러한 차이는 RouterOS v6에서 v7 전환이 이루어지던 초기부터 과도기(v7.8 출시 이전까지)에 꽤나 잦았습니다.

 

예를 들면 v7.x로 업그레이드 후 라우터 부팅이 오래 걸리거나 중간에 비정상 재부팅 되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RouterBOOT까지 업그레이드하면 증상이 없어졌지만 변경 사항에서 관련 내용을 별도 명시한 부분은 없었습니다.

 

따라서 MikroTik에서는 Current Firmware와 Upgrade Firmware의 버전이 서로 다른 경우 버전이 일치하도록 RouterBOOT 업그레이드를 권장하고 있고, 저 또한 Changelog에 특별히 명시된 부분이 없더라도 OS 업그레이드 후 습관처럼 함께 적용하고 있습니다.

 


 

RouterOS 업그레이드하기

RouterOS를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은 크게 5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표준 업그레이드 (최신, 간편)
    • 클릭 몇 번만 누르면 간편하게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표준 방법입니다.
  • 수동 업그레이드 (직접 파일 업로드)
    • 사용자가 원하는 버전의 RouterOS를 라우터에 업로드하여 업그레이드합니다.
  • 자동 업그레이드 (회사/학교 등 중대규모 또는 폐쇄망 환경용)
    • 자동/로컬 업그레이드
      • 미크로틱 라우터 중 하나를 업데이트 서버로 지정하고 다른 라우터에서 이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업그레이드 서버 라우터에 원하는 버전의 파일을 직접 업로드하거나 미러 서버로부터 자동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주로 폐쇄망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 OS 버전에 따라 System 메뉴에 Auto Upgrade 또는 Packages - Local Upgrade에 표시됩니다.
    • Dude로 업그레이드
      • MikroTik의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인 Dude에서 업그레이드 서버로 활용 및 특정 라우터를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습니다.
  • Netinstall (라우터 포맷 및 완전한 OS 재설치)
    • etherboot 모드로 진입한 라우터를 컴퓨터와 직접 연결해야 하며, Netinstall 소프트웨어로 깨끗하게 포맷 &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 표준 또는 수동 업그레이드 후 예기치 못하게 오동작하는 경우 Netinstall로 완전히 재설치하면 해결되는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 Resources의 Bad Block 값이 5%를 초과한 경우, Netinstall로 라우터/스위치의 OS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설치 과정에서 mtd로 flash erase를 거치면서 마킹된 불량 블록 정보가 갱신되기 때문입니다. (불량 블록을 없앨 수는 없습니다. 단지 마킹 테이블을 갱신하여 해당 위치에 데이터를 쓰지 않도록 피하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RouterOS의 표준 및 수동 업그레이드 방법만 설명합니다.

 

자동 및 Netinstall을 설명하려면 개별 가이드 작성이 필요한 분량이 발생하므로 건너뛰었으며, 아래 공식 가이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표준 업그레이드 하기 (최신 버전 설치)

WinBox에서 매우 간편하게 최신 버전의 RouterOS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기본적으로 RouterOS에 추가 패키지가 설치된 경우, 업그레이드하려면 해당 버전의 추가 패키지 파일까지 함께 넣어야 합니다.

 

그러나 표준 업그레이드 기능을 사용하면 설치된 추가 패키지의 최신 버전까지 '알아서' 다운로드 및 설치해주므로 매우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WinBox 좌측 메뉴에서 System - Packages를 차례대로 누르면 표시되는 Package List 창에서 우측의 Check For Updates를 누릅니다.

 

 

 

2. Check For Updates 창이 표시됩니다.

  1. Channel : 소프트웨어 배포판 채널을 선택합니다.
    • Development : 신규 변경 사항을 적용하여 비정기적으로 출시하는 개발용 알파 버전입니다.
    • Testing : 출시 후보(RC) 중 하나이며, 수 주마다 출시되는 베타 버전이므로 '변경사항 테스트' 목적에 적합하며 프로덕션 목적으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 Stable : 새로운 기능과 수정 사항을 포함한 안정적인 버전이며, 수 개월마다 출시됩니다. (권장)
    • Long-term : Stable 버전에서 장기간 검증된 출시판에 대해 보안 및 버그 패치 등 중요한 수정 사항만 적용하여 출시됩니다. (실제 운용 환경에서 권장) 단, 현재 RouterOS v7에서는 LTS 채널이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Version : 현재 설치된 버전과 최신 버전 정보를 표시합니다.
  3. Changelogs : 선택한 채널에 출시된 최신 버전의 변경 사항을 표시합니다.

  4. Download : 최신 버전의 RouterOS 패키지를 라우터에 다운로드 합니다.
    •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있는 경우 해당 패키지의 최신 버전까지 알아서 다운로드 됩니다.
    • 다운로드가 완료되더라도 설치는 하지 않으며, RouterOS 재부팅시 설치됩니다.

  5. Download & Install : 최신 버전의 RouterOS 패키지를 라우터에 다운로드 후 자동 재부팅하여 설치합니다.
    •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있는 경우 해당 패키지의 최신 버전까지 알아서 다운로드 및 설치됩니다.

 

Download 또는 Download & Install을 누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진행률이 표시되며, 최신 버전의 시스템 및 추가 패키지를 임시 공간에 다운로드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Download와 Download & Install 명령간의 차이입니다.

 

1. Download를 누르면 최신 패키지를 라우터에 '다운로드' 하지만, 자동으로 설치되지는 않습니다.

다운로드된 패키지는 사용자가 원할 때 WinBox 좌측 메뉴 -  System - Reboot을 눌러 소프트 리부트 작업을 수행해야 재부팅되며 비로소 설치됩니다.

라우터를 재부팅하면 그 시간 동안 모든 링크가 끊기므로 통신 장애가 발생하고, 중규모 이상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아무리 VRRP로 이중화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링크 복구 및 일관된 라우팅 테이블의 갱신(컨버전스) 등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매우 부담스러운 일입니다.

따라서 RouterOS를 업그레이드 하고 싶지만, 당장 재부팅하기에는 곤란한 상황이나 주기적으로 라우터를 재부팅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합니다.

 

2. Download & Install를 누르면 최신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완료되면 자동으로 재부팅 및 설치됩니다.

이는 당장 라우터를 재부팅하더라도 문제 없는 상황에서 매우 간편하고 유용합니다.

 

상기된 Download 후 수동 재부팅 또는 Download & Install로 자동 설치하여 표준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면 RouterOS를 매우 간단하게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 : RouterOS 출시 과정 순서도

 

 


 

수동 업그레이드 하기 (버전 선택 가능)

원하는 버전의 RouterOS 패키지를 직접 라우터/스위치에 업로드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저사양 기기에서 수동 업그레이드시 주의하세요.

 

자동 또는 수동 업그레이드 진행시, 패키지 파일는 램디스크에 임시 저장됩니다.

 

RouterOS의 메인 패키지는 10MB에 불과하지만 무선 패키지 등의 추가 패키지를 포함할 때 15MB 전후의 크기가 되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AP lite 등의 저사양 기기의 경우 RAM 용량이 32MB에 불과하며, 그외 64MB 이하인 기기라면 가용 메모리 용량이 크기 않기 때문에 필요한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없거나 업로드 하더라도 시스템이 메우 불안정해지므로 실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재부팅 등으로 RAM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뒤에 진행하거나, 표준/수동 업그레이드보다는 Netinstall로 완전히 재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올바른 RouterOS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려면 반드시 설치하려는 라우터의 CPU 아키텍처 종류를 알아야 합니다.

 

 

 

1. WinBox 좌측 메뉴에서 System - Resources를 차례대로 누르고, 표시된 Resources 창에서 'CPU' 항목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 모델에 따라 arm / arm64 / tilegx (=tile) / mmips / mipsbe / x86(CHR) 등의 값이 표시될 것입니다.

 

 

 

2. 상기된 [설치된 패키지(Package) 종류와 버전 확인하기] 섹션에서 소개된 방법으로 시스템에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위 이미지를 기준으로, 현재 RouterOS를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상위 버전의 ups, user-manager, zerotier 패키지 파일도 함께 준비해야 됩니다.

 

 

[참고] 와이파이(Wi-Fi) 기능이 포함된 모델의 추가 패키지 선택 요령

 

현재 사용 중인 라우터가 와이파이 지원 기종이라면 아래 내용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위 이미지는 hAP ax3의 패키지 목록인데, 시스템 패키지 아래에 wifi-qcom이라는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Wi-Fi 6 지원 모델의 무선 드라이버 패키지이며, 와이파이 동작을 위해서는 해당 추가 패키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RouterOS v7.13을 기점으로 CAPsMAN과 무선 드라이버 패키지가 완전히 분리되어 필요한 무선 드라이버 패키지를 설치해야만 무선(와이파이) 인터페이스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 [wireless] 패키지가 필요한 경우
    • MIPSBE 타입 CPU가 적용된 모든 레거시 무선 모델에 해당
      • hAP, hAP lite, hAP AC, hAP AC lite, cAP lite 등
    • 상기 모델 및 wireless 패키지는 WPA3 인증이나 802.11k/v/r 로밍, MU-MIMO, OFDMA 등 wave2 이후 주요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wifi-qcom-ac] 패키지가 필요한 경우
    • ARM CPU를 적용한 Wi-Fi 5 지원 기종에 해당
      • Audience
      • Audience LTE kit
      • Chateau (모든 D53 파생 모델)
      • RB4011iGS+5HacQ2HnD-IN (5GHz 전용)
      • hAP ac2
      • hAP ac3
      • cAP ac
      • cAP XL ac
      • LDF 5 ac
      • LHG XL 5 ac
      • LHG XL 52 ac
      • NetMetal ac^2
      • mANTBox 52 15s
      • wAP ac (RBwAPG-5HacD2HnD)
      • SXTsq 5 ac 등
  • [wifi-qcom] 패키지가 필요한 경우
    • 모든 Wi-Fi 6 지원 모델
      • hAP ax2
      • hAP ax3
      • hAP ax lite
      • cAP ax
      • wAP ax
      • Chateau PRO ax 등


위 내용을 정리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 hAP ac 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wireless'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 hAP ac2 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wifi-qcom-ac'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 hAP ax3 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wifi-qcom' 패키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참고로 RB4011iGS의 와이파이 모델 (RB4011iGS+5HacQ2HnD-IN)은 v7.13부터 2.4G와 5G 무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AR9582(2.4G) + QCA9984(5G)라는 이상한 패브릭 디자인 때문인데, AR9582는 레거시 wireless 패키지가 필요하고 QCA9984는 wave2용 wifi-qcom-ac 패키지가 필요하지만 두 패키지와 무선 장치는 더 이상 양립할 수 없으므로 두 주파수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상기 링크에 접속하고, 원하는 버전을 클릭합니다.

 

 

 

4. 아키텍처별로 정렬되어 여러 종류의 파일 목록이 표시되며, 제가 사용하는 기기는 아키텍처가 'arm'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all_packages-xxx-xxx.zip : 모든 종류의 추가 패키지를 모아둔 압축 파일입니다. 
    • 기존에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없다면 이 파일은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 현재 시스템에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함께 다운로드하여 압축을 해제합니다.
  2. routeros-xxx-xxx-npk : RouterOS 시스템 패키지 파일입니다.
    • 다운로드 후 별도 작업 없이 npk 확장자 그대로 업로드할 것입니다.

 

이제 이전 단계에서 확인한 정보로 arm / arm64 / mipsbe / mmips / ppc / tile(=tilegx) 등 기기에 맞는 아키텍처의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 됩니다!

 

 

 

5. WinBox 좌측 메뉴에서 Files를 눌러 File List 창을 엽니다.

 

 

 

 

 

6. 이전 단계에서 다운로드한 패키지 파일을 File List 목록 빈 공간에 드래그하여 업로드합니다.

  • 기존에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없다면 RouterOS 시스템 패키지 파일만 업로드하면 됩니다.
  • 기존에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있다면 반드시 업그레이드할 버전에 맞는 해당 패키지까지 함께 업로드합니다.
    • 본 예제의 시스템에는 위 단계에서 이미 설치된 추가 패키지(ups, user-manager, zerotier)가 있었으므로 이를 함께 업로드하였습니다.
  • Files에 복사된 파일은 다운그레이드 및 재부팅 과정에서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SPI 적용 모델은 램디스크라서, NAND 적용 모델은 낸드에 기록되지 않고 삭제됨)

 

[참고] File List에 Flash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7. WinBox 좌측 메뉴 -  System - Reboot을 눌러 소프트 리부트를 적용합니다. 이후 재부팅 과정에서 새로운 버전의 RouterOS 이미지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 모델에 따라 업그레이드 및 재부팅 과정이 길게 (약 3~5 분가량) 걸릴 수 있으므로 반응이 없더라도 절대 라우터 전원을 차단하지 마세요.

 

 

 

8. RouterOS 패키지 버전이나 로그 기록을 확인하여 업그레이드가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위 로그에서 4 번 항목에 downgrade 내용이 있는데, 이는 RouterOS가 upgrade 과정 진행시 이미지 설치 후 소프트 인터럽트를 진행하는 downgrade 명령으로 대체하기 때문입니다.
  • 로그에는 명령어 실행 여부만 기록되며 실제로 다운그레이드 된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RouterBOOT 업그레이드하기

RouterOS를 업그레이드 했다면, 이제 부트로더를 업그레이드 할 차례입니다.

 

 

 

 

1. WinBox 좌측 메뉴에서 System - RouterBOARD를 차례대로 누르고, 위 이미지처럼 Upgrade Firmware가 Current Firmware 보다 높은 버전이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 RouterOS를 올바르게 업그레이드했다면, 반드시 Upgrade Firmware에는 설치한 OS와 동일한 버전을 표시해야 합니다.

 

 

 

2. 우측에 Upgrade를 누르고, 확인 메시지가 표시되면 OK를 누릅니다.

 

 

 

 

3.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예약되면 상단에 재부팅시 적용된다는 알림이 표시됩니다.

 

 

 

4. WinBox 좌측 메뉴에서 System - Reboot를 눌러 재부팅합니다.

 

 

 

5. 재부팅 후 Current Firmware 버전을 확인하여 올바르게 업그레이드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uterOS 다운그레이드 하기

 

기본적으로 RouterOS는 현재 설치된 버전보다 이전 버전의 패키지 파일이 발견되면 이를 무시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소정의 과정을 거쳐야 설치된 OS를 이전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MikroTik Download Archive에서 이전 버전의 RouterOS 패키지 다운로드하기 :

 

 

 

 

1. 수동 업그레이드 섹션에 안내된 방법대로 상기 링크에서 라우터 유형에 맞는 RouterOS 패키지를 다운로드 합니다.

  • 여기서는 7.14.3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예시로 설명합니다.
  • 시스템 패키지와 추가 패키지 버전은 항상 같아야 하며, 둘 중 하나만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시스템에 이미 설치된 추가 패키지가 있다면 해당 패키지의 구버전 파일까지 함께 준비합니다.

 

 

 

2. WinBox 좌측 메뉴에서 Files를 눌러 파일 목록 창을 열고, 업그레이드 과정과 동일하게 다운로드한 패키지 파일을 드래그하여 업로드합니다.

  • Files에 복사된 파일은 다운그레이드 및 재부팅 과정에서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3. WinBox 좌측 메뉴에서 System - Packages를 차례대로 누르고 Package List 창이 표시되면 우측의 Downgrade를 누릅니다.

  • 반드시 Downgrade 명령으로 적용해야 하위 버전의 패키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무시됩니다.

 

 

 

4. 다운그레이드 확인 메시지에서 OK를 눌러 재부팅하면, 업로드된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됩니다.

 

 

 

5. 재부팅 이후 패키지 버전을 확인하여, 원하는 버전으로 올바르게 다운그레이드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uterBOOT 다운그레이드 하기

부트로더 다운그레이드 방법은 업그레이드 방법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다시 설명합니다.

 

 

 

1. RouterOS를 올바르게 다운그레이드 했다면, 위 이미지와 같이 System - RouterBOARD 정보의 Upgrade Firmware에서 해당 버전이 표시됩니다.

 

 

 

2. 상기 RouterBOOT 업그레이드 단계와 동일하게 우측의 Upgrade를 누르면, 위 이미지와 같이 재부팅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3. System - Reboot를 눌러 재부팅하면, 이전 버전의 RouterBOOT가 적용되며 부트로더 다운그레이드가 완료됩니다!

 

 

 

결론

RouterOS 및 시스템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려면 표준 업그레이드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

 

'딸깍' 한 번이면 최신 버전 패키지를 알아서 다운로드하고 설치해주기 때문입니다.

 

이와 다르게 원하는 특정 버전 또는 다운그레이드하려면 패키지 파일을 직접 넣어 업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728x90

원문출처 : https://siane.tistory.com/330

 

[Xpenology] 헤놀로지 DVA 설치후 서베일런스 용량이 부족할 때

VMware, Proxmox 등 가상화 환경에서 헤놀로지로 DVA모델을 올린 후 SurveillanceStation을 사용하다보면 어느순간 용량이 무럭무럭 늘어나서 하드디스크가 꽉 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 해결을 한

siane.tistory.com

 

VMware, Proxmox 등 가상화 환경에서 헤놀로지로 DVA모델을 올린 후 SurveillanceStation을 사용하다보면 어느순간 용량이 무럭무럭 늘어나서 하드디스크가 꽉 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 해결을 한 상태라 스크린샷을 찍지는 못했으나.. 

 

카메라 3개를 90일 보관설정하고 데이터 보관을 하고 있는데 2TB의 하드디스크가 용량 부족이 뜹니다.

 

이리저리 검색해봐도 순정이 아니기도 하고.. 네이티브 설치하신 분들께는 나오지 않는 증상이라 자료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일단 원인은 그래픽카드를 패스쓰루시키지 않아 서베일런스 스테이션 패키지 폴더 내의 특정 파일이 증식하는 문제입니다.

 

1. 그래픽카드를 패스쓰루하시면 해결됩니다.

2. 서베일런스 스테이션의 Local Display를 사용 중지시키면 됩니다.

 

이미 만들어진 파일은 설치 경로에서 파일을 찾아 삭제하면 됩니다.

 

SSH로 접속한 후 sudo -i를 입력해 루트권한을 획득한 후에 아래 폴더로 이동합니다.

/[패키지가 설치된 볼륨]/@appstore/SurveillanceStation/local_display/.config/chromium-local-display/BrowserMetrics

 

*는 와일드카드, 즉 모든 문자를 대체합니다.

*.pem은 .pem으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의미합니다.

 

rm *.pem 으로 삭제하셔도 되고 rm * 하셔도 됩니다. 어짜피 저 폴더 안에는 BrowerserMetrics-*.pem 파일만 존재합니다.

 

만약, 이미 많이 생성되어 삭제가 어렵다면..파일명을 쪼개서 삭제해주세요.

rm *62F*.pem 이런식으로 중간의 번호부분 일부를 잡아서 지워버리면 됩니다.

 

# SSH 접속
$sudo -i
# 패스워드 입력
# 볼륨 이동 volume1인 경우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cd /volume1/@appstore/SurveillanceStation/local_display/.config/chromium-local-display/BrowserMetrics

# 파일 삭제
rm *
# 만약, 파일이 너무 많다는 오류가 나오는 경우
# rm BrowerserMetrics-62*.pem 과 같은 형태로 일부만 잡아 삭제

 

728x90

원문출처 : https://davelogs.tistory.com/126

 

터미널 개발 환경 변경하기 for Mac OS X (iTerm2 + oh-my-zsh)

개발자에게 Mac OS X 기본 터미널 앱의 부족함을 채워줄 개발 환경을 iTerm2와 oh-my-zsh를 통해 변경, 구축해 보고자 한다. 참고로, Mac OS X의 기본 쉘이 bash에서 zsh로 변경된 카탈리나 이후 버전의 OS를

davelogs.tistory.com

 

 

출처: https://iterm2.com/index.html

 

개발자에게 Mac OS X 기본 터미널 앱의 부족함을 채워줄 개발 환경을 iTerm2와 oh-my-zsh를 통해 변경, 구축해 보고자 한다.

 

참고로, Mac OS X의 기본 쉘이 bash에서 zsh로 변경된 카탈리나 이후 버전의 OS를 기준으로 작성했다.

 


 

1. iTerm2 설치

기본 터미널 앱에 비해 제한적인 요소가 덜하고 좀 더 다양한 기능을 가진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iTerm2를 설치한다.

 

https://iterm2.com/index.html

 

iTerm2 - macOS Terminal Replacement

iTerm2 by George Nachman. Website by Matthew Freeman, George Nachman, and James A. Rosen. Website updated and optimized by HexBrain

iterm2.com

 

2. oh-my-zsh 설치

oh-my-zsh는 이제 기본 쉘이 된 zsh를 보다 유연하게 다룰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음 명령 구문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 oh-my-zsh 설치
$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아래는 iTerm2에서 설치한 후의 화면이다.

 

oh-my-zsh 설치 결과 화면

 

 

oh-my-zsh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경로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https://ohmyz.sh/

 

Oh My Zsh - a delightful & open source framework for Zsh

Oh-My-Zsh is a delightful, open source, community-driven framework for managing your ZSH configuration. It comes bundled with several helpful functions, helpers, plugins, themes, and a few things that make you shout... OH MY ZSH!

ohmyz.sh

 

3. Theme 변경

3.1 ZSH Theme 변경

다음의 구문을 통해 ~/.zshrc 파일을 열고, ZSH_THEME를 "agnoster"로 변경한다.

 

# ~/.zshrc 열고, ZSH_THEME="agnoster"로 변경
$ open -e ~/.zshrc

# 변경내용 적용
$ source ~/.zshrc

ZSH_THEME="agnoster"로 변경

 

3.2 iTerm2 Theme 변경

iTerm2의 테마는 다음의 사이트에서 여러 사람들이 구성해 놓은 테마 중 맘에 드는 것을 골라 설정하면 된다.

 

https://iterm2colorschemes.com/

 

Iterm Themes - Color Schemes and Themes for Iterm2

iTerm Themes Intro This is a set of color themes for iTerm (aka iTerm2). Screenshots below and in the screenshots directory. Installation Instructions To install: Launch iTerm 2. Get the latest version at iterm2.com Type CMD+i Navigate to Colors tab Click

iterm2colorschemes.com

 

선택한 테마는 다운로드 받아 .itemcolors 파일 형태여야 한다. (테마 이름 우클릭 후 저장)

 

iTerm2 테마 샘플

이제 iTerm2를 열고, Preferences > Profiles > Colors 탭에서 우측하단의 "Color Presets"를 눌러 다운로드한 테마를 import 한 후 사용할 테마로 설정한다.

 

Preferences > Profiles > Colors > Color Presets 선택 후 import

 

 

4. Font 변경

때때로 테마에 따라 폰트가 깨지는 경우가 있어,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Naver D2 Coding 폰트를 설치한다.

 

출처: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아래 경로에서 다운로드 한다.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GitHub - naver/d2codingfont: D2 Coding 글꼴

D2 Coding 글꼴. Contribute to naver/d2codingfon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폰트 설치 방법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자.

 

https://support.apple.com/ko-kr/HT201749

 

Mac에서 서체를 설치 또는 제거하는 방법

Mac에는 많은 서체가 내장되어 있으며 Apple 및 기타 소스에서 서체를 추가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서체가 앱에 나타나지 않게 하려면 서체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면 됩니다.

support.apple.com

 

이제 다시 iTerm2를 열고, Preferences > Profiles > Text 탭 하단의 Font에서 설치한 폰트로 설정한다.

 

Preferences > Profiles > Text 탭 하단의 Font에서 설치한 폰트로 설정

 

5. 기타

5.1 프롬프트 꾸미기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간소화하거나 이모지 등을 통해 꾸며볼 수 있다.

 

5.1.1 프롬프트 간소화

다음 구문을 ~/.zshrc에 삽입해 사용자 이름 뒤에 붙는 컴퓨터 이름을 제거하여 프롬프트를 간소화한다.

 

# Prompt customization
prompt_context() {
  if [[ "$USER" != "$DEFAULT_USER" || -n "$SSH_CLIENT" ]]; then
    prompt_segment black default "%(!.%{%F{yellow}%}.)$USER"
  fi
}

 

5.1.2 이모지를 활용한 프롬프트 

다음 구문을 ~/.zshrc에 삽입해 랜덤하게 이모지가 포함된 프롬프트로 꾸며볼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이름}'에는 원하는 텍스트를 마음대로 넣으면 된다.

 

# Prompt customization (random emoji)
prompt_context() { 
  emojis=("🌙" "🚀" "🔥" "🚦" "⚡️" "😎" "👑" "🌈" "🐵" "🦄" "🐸" "🍻" "💡" "🎉" "🔑")
  RAND_EMOJI_N=$(( $RANDOM % ${#emojis[@]} + 1)) 
  prompt_segment black default "{사용자이름} ${emojis[$RAND_EMOJI_N]} " 
}

 

 

5.2 상태바 추가

iTerm2 하단에 상태바를 추가해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Preferences > Profiles > Session 탭 하단에서 상태바를  활성화한다.

 

Preferences > Profiles > Session 탭에서 상태바 활성

 

이어서, Preferences > Appearance 탭에서 상태바 위치를 변경한다.

 

Preferences > Appearance 탭에서 상태바 위치 변경

 

 

5.3 플러그인

먼저, 다음 구문을 통해 플러그인 폴더에 명령어 하이라이팅 플러그인 zsh-syntax-highlighting과 자동완성 플러그인 zsh-autosuggestions를 설치한다.

 

# 명령어 하이라이팅 플러그인 설치
$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ZSH_CUSTOM:-~/.oh-my-zsh/custom}/plugins/zsh-syntax-highlighting

# 자동완성 플러그인 설치
$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ZSH_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이후 ~/.zshrc 파일을 열고 plugins 부분에 다음과 같이 zsh-syntax-highlighting과 zsh-autosuggestions를 추가한다.

 

명령어 하이라이팅과 자동완성 플러그인 추가

 


아래는 위 설정들을 그대로 적용해 사용중인 iTerm2의 모습이다.

 

설정을 완료한 터미널의 모습

 

검색해 보면 보다 다양한 설정 방법들이 많이 있으니 입맛에 맞게 선택, 적용하면 좋을 것 같다.

728x90
# faillock //전체 계정 확인
# faillock --user test //test계정 확인
# faillock --user test --reset //계정 잠김 및 비번 틀린 횟수 초기화

 

참고 사이트 : https://pinetreeday.tistory.com/224

 

LINUX faillock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 lock 해제

LINUX faillock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 lock 해제 root@TESTSVR [/root]# faillock user01: When Type Source Valid 2023-07-12 15:18:24 RHOST 10.1.2.101 V 2023-07-12 15:18:32 RHOST 10.1.2.101 V 2023-07-12 15:19:12 RHOST 10.1.2.101 V 2023-07-12 15:21:18

pinetreeday.tistory.com

 

728x90

원문출처 : https://continuetochallenge.tistory.com/135

 

윈도우 서버 -> 리눅스 NFS mount (연결 계정 지정)

윈도우 서버에서 리눅스에 올라가 있는 NFS 서버 디렉터리에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연결하는 방법을 3가지로 구분해봤는데, 특별할 건 없습니다. GUI로 할지, 커맨드로 할지 선택하시면 되고, 연

continuetochallenge.tistory.com

 

윈도우 서버에서 리눅스에 올라가 있는 NFS 서버 디렉터리에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연결하는 방법을 3가지로 구분해봤는데, 특별할  없습니다.

GUI 할지, 커맨드로 할지 선택하시면 되고,

연결할 계정(리눅스 OS 계정) 지정해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포스팅이  길어서 목차를 먼저 알려드립니다.

1. 테스트 환경

2. 리눅스 서버에 NFS Server 설치/설정

3. 윈도우 서버에 NFS Client 기능 설치

4-1. NFS 서버와 연결 (계정 지정 없이 GUI)

4-2. NFS 서버와 연결 (계정 지정 없이 커맨드로)

4-3. NFS 서버와 연결 (계정 지정)

 

 

1. 테스트 환경

NFS Server

- OS : SUSE Linux 11

- Hostname : sles11t01

- IP : 192.168.80.151

- 디렉터리 경로 : /nfsdir

 

NFS Client

- OS : Windows Server 2019

- Hostname : WIN2019SVR03

- IP : 192.168.80.152

- 마운트 포인트 : Z:\

 

2. 리눅스 서버에 NFS Server 설치/설정

NFS Server 설정은 아래 포스팅  하나를 참고해주세요~

NFS란? NFS 설정 및 주요 옵션 또는

리눅스 NFS 서버/클라이언트 설정 (Step by Step) 또는

수세리눅스에서 NFS 서버 설정 (with GUI)

 

설정한 결과는 이렇습니다.

a.txt 테스트 용도로 하나 만들어두었습니다.

보시다시피 모든 권한은  root 설정해두었습니다. (테스트를 위해)

 

3. 윈도우 서버에 NFS Client 기능 설치

서버 관리자에서 역할  기능 추가 실행

 

다음

 

다음

 

서버 선택  다음

 

다음

 

NFS 클라이언트 선택  다음

 

설치

 

설치 완료 확인

 

4-1. NFS 서버와 연결 (계정 지정 없이 GUI)

먼저 계정 지정 없이 그냥 연결하는 것부터 해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PC 열어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합니다.

 

마운트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예시에서는 Z:\ 드라이브)

NFS 서버의 공유 디렉터리 경로를 입력합니다 (예시에서는 \\192.168.80.151\nfsdir)

 

그러면 이렇게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NFS 공유 디렉터리 연결이 완료됩니다.

 

4-2. NFS 서버와 연결 (계정 지정 없이 커맨드로)

위의 방법대로 GUI 통해 하는 방법 외에 커맨드로 하실 수도 있습니다.

테스트를 위해 위에서 연결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끊어 볼게요.

 

연결을 위해 cmd 창을 하나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간단하게 끝납니다.

mount <\\IP\directory> <마운트  드라이브>

 

 PC 열어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4-3. NFS 서버와 연결 (계정 지정)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연결한 파일을 수정하거나 파일을 생성/삭제 하려고 하면 권한 오류가 발생하는  보실  있습니다.

 

[파일 수정 불가]

 

[파일 생성 불가]

 

이는 NFS 서버(리눅스) 공유 디렉터리 권한이 root 되어 있고 (테스트를 위해 root 설정했습니다.)

 

NFS 클라이언트(윈도우)에서 디렉터리에 연결할  사용하는 계정은 UID 2번으로 기본 설정하여 연결하기 때문입니다.

cmd 창을 열어서 mount 명령어를 실행해보시면 확인하실  있어요.

 

이를 해결하려면 연결할  사용할 계정을 변경 해야 합니다.

 

변경을 위해 PowerShell 창을 하나 열어줍니다.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서 레지스트리  2개를 추가합니다. (이미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값을 변경해줍니다.)

New-ItemProperty HKLM:\SOFTWARE\Microsoft\ClientForNFS\CurrentVersion\Default -Name AnonymousUID -Value 0 -PropertyType "DWord"

New-ItemProperty HKLM:\SOFTWARE\Microsoft\ClientForNFS\CurrentVersion\Default -Name AnonymousGID -Value 0  -PropertyType "DWord"

 

여기서 저는 Value 값을 0으로 설정해 주었는데, 0으로 설정한 이유는 root 접속하기 위해서 입니다.

다른 계정으로 접속이 필요하시면 해당 계정의 UID, GID 값을 NFS 서버(리눅스)에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하신 후에 서버 재부팅을 해줍니다. 물론 NFS 클라이언트(윈도우) 서버를 재부팅 합니다.

 

mount 명령어로 속성 값을 다시 확인해 봅니다.

아래처럼 UID, GID 0으로 바꼈네요.

(혹시라도 속성 값이 바뀌지 않았다면, 연결 끊기  다시 연결해 봅니다.)

 

그러면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새로운 파일도 만들어보고~

 

기존에 만들어 두었던 파일의 내용도 수정하고 저장해봅니다.

 되네요!

 

NFS 서버에서도 변경사항이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728x90

docker-compose up -d 로 docker-compose.yml 파일 내용을 실행 시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을 확인하면

 

$ docker-compose up -d
[+] Running 1/2
 ✔ Network mstream_default  Created                                                                                       0.1s
 ⠹ Container mstream        Starting                                                                                      0.2s
Error response from daemon: failed to create task for container: Unimplemented: failed to start shim: start failed: unsupported shim version (3): not implemented

 

아래 명령어 입력 후 

$ systemctl restart containerd


다시 도커 실행하면 해결완료

$ docker-compose up -d
[+] Running 1/1
 ✔ Container mstream  Started
728x90
sudo pacman -S pacman-contrib --needed
curl -s "https://archlinux.org/mirrorlist/?country=KR&use_mirror_status=on" | sed -ne 's/#Server\(.*\)/Server\1/p' | rankmirrors -n 3 - | sudo tee /etc/pacman.d/mirrorlist

 

위 명령은 /etc/pacman.d/mirrorlist 파일에 가장 빠른 3개의 미러를 저장한다.

 

https://archlinux.org/mirrorlist 사이트는 Archlinux의 공식 미러 목록을 제공한다.

- country=KR

  - 나라는 대한민국으로 제한한다.

- use_mirror_status=on

  - 미러가 살아있는 것으로 제한한다.

 

결과

##
## Arch Linux repository mirrorlist
## Filtered by mirror score from mirror status page
## Generated on 2021-11-29
##

## South Korea
#Server = https://ftp.harukasan.org/archlinux/$repo/os/$arch
## South Korea
#Server = https://mirror.premi.st/archlinux/$repo/os/$arch

curl 명령어 사용 시,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필요 없는 정보들을 없애기 위해 sed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Server = https://ftp.harukasan.org/archlinux/$repo/os/$arch
Server = https://mirror.premi.st/archlinux/$repo/os/$arch

위에서 출력된 미러리스트를 빠른 순으로 정렬하기 위해 rankmirrors 명령어를 사용한다.

rankmirrors 명령어는 pacman-contrib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다.

- n <NUM> 옵션

  - NUM 개수만큼 빠른 순으로 미러를 출력한다.

 

tee 명령어는 파이프를 통해 넘어온 결과를 출력하는 동시에 파일에 쓴다.

이때, /etc/pacman.d/mirrorlist 파일은 root 권한이 필요하므로, sudo를 사용한다.

728x90

원문출처 : https://blog.naver.com/legios21/221021125800

 

타이어 위치 교환 DIY

타이어 위치 교환 DIY 타이어를 신품으로 교체한지 약 2년반 정도에 40,000km정도 되었고, 타...

blog.naver.com

 

 

728x90

https://jginyue.com/index/Article/show/cat_id/25/id/132

 

JGINYUE B650I NIGHT DEVIL motherboard - AMD AM5 - JGINYUE Offcial Website

3 x USB 3.2 interface, 2 x USB 2.0 interface, 2 sets of USB 2.0 pins, expandable 4 USB 2.0 pins, 1 set of USB 3.2 pins, expandable 2 USB 3.2 pins

jginyue.com

 

728x90

원문출처 : https://blog.naver.com/sbjrain/223404316579

 

스팅어 카본트렁크 상판으로 교체하기~!!

여러 스팅어 오너분들께서 다양한 디자인의 스포일러를 많이들 장착하고 계신데요. 순정 제품 치고는 가격...

blog.naver.com

 

 

728x90

출처 : https://plan.danawa.com/info/index.php?nPlanSeq=428

 

승용차 타이어 계급도 : 다나와 쇼핑기획전

국산 타이어 3사(금호, 넥센, 한국)의 제품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타이어와 컴포트형 타이어로 제품들을 최상위 제품부터 보급형 제품까지 구분한 콘텐츠 입니다.

plan.danawa.com

 

728x90

원문출처 : https://gunnm.tistory.com/122

 

응답 헤더를 통한 서버 정보 노출 방지 (HTTP Response Header Remove)

특정 업체의 보안 정책에 따른 IIS 설정 변경이 필요함. [재현절차] 1.[보안] Response 값 헤더에 서버정보 노출 ex) server : Microsoft-IIS/8.5 [결함내용] 1.[보안] 부적절한 환경 설정 - 불필요한 서버 정보

gunnm.tistory.com

 

728x90

ㅡ 시동을끈다 ㅡ 와이퍼작동레버를 위로 꾹5초정도 올려준다(차 문열면 안됨) - 와이퍼가 위로 올라가면 교체 하면 됨

728x90

<스팅어 3.3 AWD 소모품 교체(주기, 종류)>

엔진오일/오일필터/에어필터: 9,000km - 6.9L 필요
https://smartstore.naver.com/filternoil/products/6608066158

디퍼오일(앞,뒤): 30,000km - 앞: 0.7L / 뒤: 1.4L 필요​
https://smartstore.naver.com/hk_shop/products/4436292132

브레이크오일: 50,000km - 2L 필요
https://smartstore.naver.com/purnoil/products/7458909605

TC오일: 70.000km - 1L 필요
https://smartstore.naver.com/sapa2840/products/7515174961

점화플러그/점화코일: 80,000km
세트: https://smartstore.naver.com/carbupum2/products/5166261328

미션오일/미션팬: 100,000km - 9.2L 필요
오일: ​https://smartstore.naver.com/sapa2840/products/7060952448
팬: https://smartstore.naver.com/jk2500/products/8565964305

외부벨트세트: 100,000km
https://smartstore.naver.com/car_parts/products/5688596065

냉각수: 100,000km - 11.6L 필요
https://smartstore.naver.com/sapa2840/products/8633369909

타이어(앞,뒤): 한국타이어 S2AS
앞(225/40/19): https://smartstore.naver.com/bs365/products/5083403925
뒤(255/35/19): https://smartstore.naver.com/bs365/products/5083407195

브레이크패드: 하드론ZR
https://smartstore.naver.com/pad_mall/products/5321405331

728x90

원문출처 : https://svrforum.com/recent/1581255

 

Proxmox LXC를 이용한 Zabbix 쉽게 구축하기.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글에서는 많이들 모니터링에 사용하고계신 Zabbix를 LXC를 통해 쉽게 구축해보도록하겠습니다. proxmox lxc를 통해 구성하면 스크립트로 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기때문에

svrforum.com

 

728x90

1. https://github.com/RROrg/rr/ 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한다.

 

2. 받은 rr.img 파일을 Proxmox의 /root에 업로드 한다.

 

3. VM을 만든다.

 

4. # qm importdisk <VM-ID> /root/rr.img <Storage-ID>

ex) qm importdisk 104 /root/rr.img local-lvm

 

5. VM 내 img파일이 디스크로 생성된것을 확인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한다. 끝~

728x90

윈도우 서버에서 다음과 같이 부팅 시 오류 메시지를 뿜뿜하며 부팅이 안 될때 해결방법

Windows를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최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변경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Windows 설치 디스크를 삽입하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언어 설정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컴퓨터 복구를 클릭합니다.
이 디스크가 없는 경우 시스템 관리자 또는 컴퓨터 제조업체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으세요.

상태: 0xc000000e

정보: 필요한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없으므로 부팅 선택이 실패했습니다.

 

해당 윈도우 서버 설치 ISO로 부팅 후
Command line으로 복구 시도......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Bootrec /ScanOS
Bootrec /RebuildBCD

SFC /ScanNow

 

재부팅~ 성공!

 

참고로 Windows Server 2012 R2 에서 테스트함!

728x90

https://pve.proxmox.com/wiki/Backup_and_Restore

 

Backup and Restore - Proxmox VE

You can mark a backup as protected to prevent its removal. Attempting to remove a protected backup via Proxmox VE’s UI, CLI or API will fail. However, this is enforced by Proxmox VE and not the file-system, that means that a manual removal of a backup fi

pve.proxmox.com

 

728x90

PVE 8 환경 최적화

1. 일반 구성(lvm 파티션, 스왑 조정, 소스 변경, 구독 삭제 팝업창)

이 장의 목표는 시스템 디스크 공간을 통합하고 스왑 파티션과 local-lvm 파티션 계정을 로컬 파티션에 통합하는 것입니다.

PVE와 함께 제공되는 Shell 기능을 엽니다.

다음과 같이하세요

pve에서 local-lvm 파티션 제거

  1.  
    lvremove pve/data
  2.  
    lvextend -l +100%FREE -r pve/root

볼륨 제거 여부 확인 [y/n] y를 입력하세요.

 

root@rh1288v3 :~# lvremove pve/data
활성 논리 볼륨 pve/data를 제거하시겠습니까? [y/n]: y
  논리 볼륨 "data"가 성공적으로 제거되었습니다.
FREE -r pve/root
  논리 볼륨 pve/root의 크기가 37.45GiB(9588 익스텐트)에서 101.82GiB(26067 익스텐트)로 변경되었습니다. resize2fs 1.47.0(2023년 2월 5일) 파일 시스템 크기가
  조정되었습니다. /dev/mapper/pve-root는 /에 마운트됩니다. 온라인 크기 조정 필요 old_desc_blocks = 5, new_desc_blocks = 13 /dev/mapper/pve-root의 파일 시스템 길이는 이제 26692608(4k) 블록입니다.

Data Center-Storage-local-lvm을 클릭하고 제거를 클릭한 후 확인합니다.

pve와 함께 제공되는 스왑 파티션을 제거하십시오.

기본 스왑 파티션은 시스템 디스크에 생성되므로 시스템 디스크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시스템 디스크의 수명을 소모하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기사에서는 Optane M10 16G를 스왑 캐시 디스크로 사용합니다)

쉘에 들어가서 다음 명령을 입력하십시오

  1.  
    swapoff -a
  2.  
    lvremove /dev/pve/swap
  3.  
    lvresize -l +100%FREE /dev/pve/root

root@RH1288V3:~# swapoff -a
root@RH1288V3:~# lvremove /dev/pve/swap
활성 논리 볼륨 pve/swap을 제거하시겠습니까? [y/n]: y
  논리 볼륨 "swap"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습니다.
root@RH1288V3:~# lvresize -l +100%FREE /dev/pve/root
  논리 볼륨 pve/root의 크기가 101.82 GiB(26067 익스텐트)에서 109.82 GiB(28115 익스텐트)로 변경되었습니다.
  논리 볼륨 pve/root의 크기가 조정되었습니다.

요약하면, 위의 작업 후에 로컬 공간이 최대화됩니다.

구독 팝업 삭제

sed -Ezi.bak "s/(Ext.Msg.show\(\{\s+title: gettext\('No valid sub)/void\(\{ \/\/\1/g" /usr/share/javascript/proxmox-widget-toolkit/proxmoxlib.js && systemctl restart pveproxy.service

실행이 완료된 후 브라우저 Ctrl+F5를 누르면 캐시가 새로 고쳐집니다.

 

728x90

[ㄱ]
각출     각자의 비용을 각자 지불하는 것
갹출     같은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이 돈을 나눠 내는 것
검토     어떤 내용이나 사실을 분석하고 확인함
격무     몹시 고된 업무
격일     하루를 거름 (ex. 이번 콘텐츠는 월, 수, 금 격일 발행 하겠습니다)
결재     부하직원이 제출한 안건을 상사가 검토한 뒤 승인하는 것
결제     거래에 대한 대금을 주고받는 것
공란     비워둔 칸
공람     여러 사람이 봄. 또는 여러 사람이 보게 함
공문     공공기관이나 단체에서 공식적으로 작성한 문서
공제     받을 몫에서 일정한 금액을 뺌
구두     입으로 하는 말 (ex. 구두상으로 말씀드렸다시피~)
귀사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방의 회사를 높여 이르는 말
금번     이번 (ex. 금번에도 동일한 절차로 처리하겠습니다)
금일     오늘 (ex. 금일 개인 사정으로 휴업합니다)
금주     이번주
기안     사업이나 활동 계획의 초안
기재     문서에 기록하다


[ㄴ]
납기     고객에게 주문받은 물품이나 결과물을 가져다줘야 하는 마감 기한
노무     ①노동 ②노동과 관련된 사무
노티(Notice)     알리다, 공지하다
누락     기입되거나 처리되어야 하는 내용이 빠지다


[ㄷ]
당기순이익     일정 회계기간동안 발생한 전체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금액
당사     바로 그 회사, 또는 바로 이 회사
당일     특정한 바로 그 날 ≠오늘 (ex. 제품에 이상이 없는지 수령한 당일에 확인해주세요)
대결     기존의 결재권자가 결재할 수 없을 때 그 직무를 대리하는 자가 결재하는 것
대금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
대외비     외부에 알리지 않기로 한 비밀
더블체크(Double check)     오류가 없는지 재확인하는 것
데드라인(Deadline)     마감일
도메인(Domain)     ①비즈니스가 속한 산업 분야, 영역, 환경 전반을 일컫는 말 ②인터넷 주소(URL)의 일부
듀데이트(Due date)     마감 기한
디벨롭(Develop)     발전시키다, 구체화하다


[ㄹ]
램프업(Ramp up)     생산 능력 등을 늘리다
랩업(Wrap up)     회고
러프(Rough)     거친, 대략적인 (ex. 아직 확정된 프로젝트가 아니니 러프하게 기획안 준비해주세요)
레거시(Legacy)     현재까지 쓰이는 낡은 기존 시스템 또는 현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의 시스템
레슨런(Lesson learned)     성공 또는 실패의 경험을 통해 교훈을 얻는 것
레퍼런스(Reference)     참고 자료  
로우데이터(Raw data)     가공하지 않은 원본 자료
룩앤필(Look & Feel)     제품의 겉모양이나 인터페이스 등 눈에 보이는 시각적 요소
리소스(Resource)     인력, 시간, 돈 등 업무에 투입되는 자원
리스트업(List up)     데이터를 목록화하는 것 (ex. 섭외 후보 리스트업해주세요)
린(Lean)     군살이 없는, 낭비 없이 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가리킨다 (ex. 일단 린하게 실행부터 해봅시다)
릴리즈(Release)     발표, 배포, 출시


[ㅁ]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데이터 등을 새로운 운영 체계로 옮겨가는 과정
마일스톤(Milestone)     단기적 사업 목표
마켓(Market)     시장
마켓쉐어/마켓셰어(Market share)     시장점유율 
맨먼스(Man/Month)     한 사람이 한 달 동안 수행할 수 있는 작업량
명일     '내일'과 같은 뜻 (작일 - 금일 - 명일)
미수금     아직 거둬들이지 못한 돈


[ㅂ]
바텀업(Bottom up)     실무자가 업무를 기획해 윗선에 보고하여 일을 진행하는 방식. 탑다운과 반대 개념
반려     승인을 요청한 문서를 처리하지 않고 되돌려보냄
배상     ①절하여 올린다는 뜻. 편지 말미 본인 이름 뒤에 붙여 쓴다 (ex. 홍길동 배상) ②남에게 끼친 손해를 물어주는 일
백업(Back up)     ①파일 손상 등에 대비해 데이터를 다른 저장장치에 복사해두는 것 ②담당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일손이 부족할때 업무를 돕는 것
별첨     서류를 따로 첨부함
분장     일이나 임무를 나누어 맡음 (ex. 신규입사자가 있어 업무 분장을 새로 했습니다)
불출     돈이나 물품을 내줌. 주기적으로 지급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붙임     글에서 빠진 것이나 참고할 내용을 뒤에 덧붙여 적은 것


[ㅅ]
사안     문제가 되는 일이나 계획
사일로(Silo)     팀끼리 벽을 치고 협력·소통하지 않는 상태
상기     ①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해냄 ②어떤 사실을 알리기 위해 본문 위나 앞쪽에 적는 일. 또는 그런 기록 
상동     ①서로 같음 ②위에 적힌 사실과 같음
상신     윗사람에게 일에 대한 의견·상황을 말이나 글로 보고함
세금계산서     물건을 사고팔 때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발행하는 영수증
세미나(Seminar)     연구회, 발표회, 토론회
소구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기 위해 상품의 특성이나 매력을 호소하는 것
소스(Source)     정보의 출처, 혹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자료
소프트카피(Soft copy)     종이로 출력하지 않은 디지털 형태의 문서
송부     편지나 물품을 보냄
수기     글을 자기 손으로 직접 씀. 자동화 작업이 아니라 일일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업무를 '수기 업무'라고 칭한다
순연     차례로 기일을 늦춤 (ex. 경제 불황으로 대규모 투자 계획을 순연하기로 했습니다)
스콥(Scope)     범위. 업무범위를 가리킬 때 '업무스콥'이라고 표현함
스크럼(Scrum)     팀 단위에서 주기적으로 업무를 계획해 짧은 기간동안 작업을 수행하는 업무 방식, 또는 이러한 업무를 위한 회의
스크리닝(Screening)     초기 단계에서 상품을 테스트해 선별하는 일
스탠스(Stance)     어떤 일에 대한 공개적인 입장, 태도
스프린트(Sprint)     단기간에 집중해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업무 방식
싱크(Sync)     작업끼리 수행 시기를 발 맞추는 것 (ex. 싱크 맞춰서 진행해 주세요)


[ㅇ]
아삽(ASAP, As Soon As Possible)     가급적 빨리
아웃풋(Output)     투입한 자원으로 결과물을 생산해내는 것. 혹은 그 결과
아이데이션(Ideation)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행하는 모든 활동
아젠다/어젠다(Agenda)     회의 안건
안건     토의하거나 조사하여야 할 사실
애자일(Agile)     빠르고 유연하게 의사결정하고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조직 운영 방식
액션 아이템(Action Item)     실행 과제
양지     살펴서 알다 (ex. 유의사항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어레인지(Arrange)     처리하다, 정리하다, 조율하다 (ex. 촬영 장소 어레인지 해주세요)
어사인(Assign)     업무를 배정하다, 맡기다
얼라인(Align)     (목표나 방향을) 일치시키다, 결을 맞추다
얼터(Alternative)     대안
영업이익     매출액에서 원가와 판매관리비용을 차감한 금액
영업일     업체가 실제로 문을 열고 영업을 하는 날 (ex. 5영업일 후 처리될 예정입니다)
온보딩(On boarding)     조직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과정
워크숍/워크샵(Workshop)     공동 연수, 공동 수련
워킹데이(Working day)     근무일. 대체로 평일을 가리킨다
워터폴(Waterfall)     정해진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을 진행하는 조직 운영 방식 
위임     사무 처리를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것
유선     전선에 의한 통신 방식. '전화'를 가리킨다 (ex. 유선으로 설명 드렸다시피~)
유첨     파일 등을 첨부함
이관     받은 공문이나 알림을 다른 부서로 보냄 (동의어: 이첩)
이슈(Issue)     문제가 되는 일
익일     특정일의 바로 다음 날 ≠내일 (전일 - 당일 - 익일)
인벌브/인볼브(Involve)     참여하다, 관여하다 (ex. 이 프로젝트에는 누가 인볼브 되어 있나요?)
인보이스(Invoice)     청구서, 명세서
인비     ①인사에 관계된 비밀, 혹은 그런 서류 ②초대하다. Invitation의 준말 (ex. 미팅 일정 확정시 인비 드리겠습니다)
인사이트(Insight)     통찰력. 사물이나 현상의 본질을 꿰뚫는 것
인폼(Inform)     정보를 알리다
인풋(Input)     생산 자원이나 정보를 투입하는 것


[ㅈ]
작일     '어제'와 같은 말 (작일 - 금일 - 명일)
재가     안건을 결재하여 허가함
재고     ①어떤 일이나 사안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것 ②팔다 남아서 창고에 쌓여있는 물건
재무     기업의 자금을 조달하고 운용하는 것
재무제표     기업의 재무상태 파악을 위해 회계 원칙에 따라 작성한 보고서
전결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이 대신 결재하는 것
전일     특정일의 바로 앞 날 ≠어제 (전일 - 당일 - 익일)
전표     거래 증거 자료를 보존하기 위해 거래내용을 요약해 기록한 표
제고     수준이나 정도를 끌어올림 (ex.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다)
제위     '여러분'과 같은 뜻 (ex. 수신자 제위)
제의     의견이나 의논을 내놓음
지결(지출결의)     회사의 돈을 써야할 때 그 내역을 검토하고 결정하는 일. 지출결의서는 비용 지출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때 작성하는 문서를 가리킨다
지급     ①돈이나 물건을 정해진 몫만큼 내줌 ②매우 급함
지양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해 어떤 것을 하지 않음 (ex. 늑장대응은 지양해야 합니다)
지표     방향이나 목적, 기준을 나타내는 표지
지향     어떤 목표로 뜻이 향함


[ㅊ]
차일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날
착수     어떤 일을 시작함
참고     살펴서 생각함, 살펴서 도움이 될 만한 재료로 삼음
참조     참고로 비교·대조해서 봄
출타     다른 곳에 외출함


[ㅋ]
커피챗(Coffee chat)     커피를 마시며 캐주얼하게 이야기 나누는 미팅
컨선(Concern)     우려
컨퍼런스(Conference)     특정 주제에 관해 사람들이 모여 토론하는 대규모 회의나 모임
컨퍼런스콜/컨콜(Conference call)     3인 이상이 전화로 진행하는 회의
컨펌(Confirm)     승인하다, 확인하다
컬쳐덱(Culture deck)     조직문화를 문서화한 자료
컷오프(Cut off)     주로 물류업계에서 화물 반입 마감 시간을 가리킨다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사례 조사, 사례 연구
케파(Capacity)     능력, 역량. 주로 생산 가능한 최대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크로스체크(Cross check)     여러 명의 관점으로 정보나 문서를 검사하는 것
킥오프(Kick off)     시작하다, 착수하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갖는 첫 미팅을 '킥오프 미팅'이라 칭한다


[ㅌ]
타깃(Target)     대상, 목표
타운홀미팅(Town hall meeting)     전 직원이 모여 의견을 주고받는 회의
탑다운(Top down)     상사가 부하에게 업무를 지시하는 방식. 바텀업과 반대 개념
태스크(Task)     과업. 꼭 해야 할 일이나 임무
토스(Toss)     전달하다, 상대에게 넘기다
톤앤매너(Tone & Manner)     분위기나 어조, 태도 등 기업과 브랜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요소
트래픽(Traffic)     특정사이트 등의 접속/이용량


[ㅍ]
팔로업/팔로우업(F/U, Follow up)     후속조치, 사후점검 (ex. 제품 출시 후 이상 없는지 계속 팔로업해주세요)
페르소나(Persona)     고객(타깃)을 구체화한 것 (ex. 우리의 페르소나는 스포츠를 즐기는 외향적인 30대 여성 직장인입니다)
펜딩(Pending)     결정되지 않고 보류중인 상태
폐사     말하는 이가 자기 회사를 낮추어 이르는 말
포워드(F/W, Forward)     전달하다, 주로 메일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사용함
품의     상사에게 말이나 글로 여쭈어 의논함
프레임워크(Framework)     어떤 일에 대한 판단·결정을 위한 틀 
피드백(F/B, Feedback)     작업한 일의 결과에 대해 평가나 의견, 조언을 주는 것
피봇팅(Pivoting)     사업체는 그대로 유지한 채 사업의 방향을 바꾸는 것
피저빌리티(Feasibility)     실현가능성
픽스(Fix)     확정


[ㅎ]
하기     ①어떤 사실을 알리기 위해 본문 아래에 적는 것. 또는 그런 기록 ②돈을 치른 내용을 적은 기록
하드카피(Hard copy)     문서를 인쇄물로 출력한 것
협의     둘 이상의 사람이 서로 협력해 의논함
혼선     말이나 업무 등을 서로 다르게 파악해 혼란이 발생하는 것
홀딩(Holding)     일시 중지
회계     돈의 흐름을 기록하고 보고하는 것
회람     글이나 문서를 여러 사람이 차례로 돌려 봄
회신     편지나 전화 등으로 답변 함


[A]
AOB(Any Other Business)     의제 외 기타사항
As-is     현재 상태. 주로 실행 전/후 차이를 보여주어야 하는 보고서에서 To-be와 함께 사용한다.


[B]
BCC(Blind Carbon Copy)     숨은 참조. 수신자에게 보이지 않게 메일 참조를 걸고 싶을 때 사용한다
BEP(Break Even Point)     손익분기점. 일정 기간동안의 총 비용과 총 수익이 동일한 지점 
BM(Business Model)     비즈니스 모델. 기업의 총체적인 사업 아이디어
BP(Best Practice)     산업별로 가장 잘하고 있는 사업 방식, 모범 경영 사례


[C]
CC(Carbon Copy)    참조. 메일을 받는 주된 수신인은 아니지만, 업무상 메일 참조가 필요한 사람에게 CC를 걸어서 보낸다
Comm.(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의사소통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과의 관계 관리를 통해 장기 충성고객을 확보하는 마케팅


[D]
DB(Database)     여러 사람이 공유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E]
e.g.     예를 들어 (라틴어 exempli gratia를 줄인 것. for example로 읽음)
EOB(End Of Business)     업무 종료 시각 
EOD(End Of Documents)     문서의 끝
EOM(End Of message)     제곧내. 메일 제목이 곧 내용임


[F]
FYI(For Your Information)     참고하세요
FYR(For Your Reference)     참고하세요 (FYI보다 덜 중요할 때 사용)


[H]
H(Half of the year)     반기 (ex. 1H- 상반기, 2H- 하반기)
HR(Human Resources)     인적자원(인사)에 관련된 일


[I]
i.e.      즉, 다시 말해 (라틴어 id est)


[K]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목표를 이루기 위해 달성해야 하는 지표
KSF(Key Success Factors)     핵심성공요인


[M]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내용이 서로 중복되지 않으면서 누락되지 않게 정리하는 것
MoM(Month over Month)     전월 대비 증감률
MVP(Minimum Viable Pruduct)     시장의 피드백을 받기 위해 최소한의 핵심기능만으로 구현한 테스트 제품


[N]
N/A(Not Applicable)     해당사항 없음
NDA(Non Disclosure Agreement)     비밀유지계약서


[O]
OJT(On the Job Training)     직장 내 교육 훈련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조직의 이상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했다고 말할 수 있는 핵심 성과 지표를 설정하는 조직 관리 방식


[P]
PM(Product/Project Manager)     제품 또는 프로젝트의 관리자
PO(Product Owner)     제품의 전반을 책임지는 디렉터이자 리더. 대체로 PM보다 더 많은 역할과 책임이 부여됨


[Q]
Q(Quarter of the year)     분기 (ex. 1Q- 1분기, 2Q- 2분기)
QoQ(Quarter over Quarter)     전분기 대비 증감률


[R]
R&R(Roles & Responsibilities)     역할과 책임 (ex. R&R이 불명확해서 업무 누락이 발생하네요)
ROAS(Return On Advertising Spend)     광고비용 대비 매출. 광고 매출 ÷ 광고비 × 100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이익률. 이익 ÷ 투자액 × 100


[T]
T/O(Table of Organization)     조직 편성도. 주로 조직에 자리가 비었을 때 'T/O가 났다'고 표현함
TBA (To Be Announced)     추후에 공고함
TBD (To Be Determined)     추후에 결정함
TF(Task Force)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임시로 조직된 팀. TFT(Task Force Team)라고도 쓴다
To-be     추후 개선안. 주로 실행 전/후 차이를 보여주어야 하는 보고서에서 As-is와 함께 사용한다.


[V]
VoC(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
VP(Value Proposition)     핵심 가치


[W]
w(With)     함께, 포함해 (ex. w.영업부)
w/o(Without)     미포함, ~를 제외하고


[Y]
YoY(Year over Year)     전년 대비 증감률

728x90

<RedHat 계열 리눅스 서버 취약점 조치 방법> - 2024.06 By MirDaTe

아래는 Rocky Linux 8, 9 버전 서버 취약점 점검 조치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직접 해 본 후 정리한 자료이며 Apache 등의 웹서버 조치방법은 제외된 자료임.

 

1. sudo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no

MaxAuthTries 5

 

2. sudo vi /etc/profile

HISTSIZE=2000
HISTTIMEFORMAT="%F %T "
TMOUT=900

export PATH USER LOGNAME MAIL HOSTNAME HISTSIZE HISTCONTROL HISTTIMEFORMAT TMOUT

 

3. sudo vi /etc/login.defs

PASS_MAX_DAYS 90
PASS_MIN_DAYS 1
PASS_MIN_LEN 8
PASS_WARN_AGE 7

 

4. sudo vi /etc/pam.d/system-auth

# Generated by authselect on Wed Apr 24 15:45:49 2024
# Do not modify this file manually.

auth required pam_env.so
#아래줄 추가 by MirDaTe
auth required pam_faillock.so preauth silent audit deny=5 unlock_time=600
auth required pam_faildelay.so delay=2000000
auth sufficient pam_fprintd.so
auth [default=1 ignore=ignore success=ok] pam_usertype.so isregular
auth [default=1 ignore=ignore success=ok] pam_localuser.so
auth sufficient pam_unix.so nullok
#아래줄 추가 by MirDaTe
auth [default=die] pam_faillock.so authfail audit deny=5 unlock_time=600
auth [default=1 ignore=ignore success=ok] pam_usertype.so isregular
auth sufficient pam_sss.so forward_pass
auth required pam_deny.so

account required pam_unix.so
account sufficient pam_localuser.so
account sufficient pam_usertype.so issystem
account [default=bad success=ok user_unknown=ignore] pam_sss.so
account required pam_permit.so
#아래줄 추가 by MirDaTe
account required pam_faillock.so

password requisite pam_pwquality.so local_users_only
password sufficient pam_unix.so sha512 shadow nullok use_authtok
password [success=1 default=ignore] pam_localuser.so
password sufficient pam_sss.so use_authtok
password required pam_deny.so

session optional pam_keyinit.so revoke
session required pam_limits.so
-session optional pam_systemd.so
session [success=1 default=ignore] pam_succeed_if.so service in crond quiet use_uid
session required pam_unix.so
session optional pam_sss.so

 

5. sudo vi /etc/pam.d/password-auth

# Generated by authselect on Wed Apr 24 15:45:49 2024
# Do not modify this file manually.

auth required pam_env.so
#아래줄 추가 By MirDaTe
auth required pam_faillock.so preauth silent audit deny=5 unlock_time=600
auth required pam_faildelay.so delay=2000000
auth [default=1 ignore=ignore success=ok] pam_usertype.so isregular
auth [default=1 ignore=ignore success=ok] pam_localuser.so
auth sufficient pam_unix.so nullok
#아래줄 추가 By MirDaTe
auth [default=die] pam_faillock.so authfail audit deny=5 unlock_time=600
auth [default=1 ignore=ignore success=ok] pam_usertype.so isregular
auth sufficient pam_sss.so forward_pass
auth required pam_deny.so

account required pam_unix.so
account sufficient pam_localuser.so
account sufficient pam_usertype.so issystem
account [default=bad success=ok user_unknown=ignore] pam_sss.so
account required pam_permit.so
#아래줄 추가 By MirDaTe
account required pam_faillock.so

password requisite pam_pwquality.so local_users_only
password sufficient pam_unix.so sha512 shadow nullok use_authtok
password [success=1 default=ignore] pam_localuser.so
password sufficient pam_sss.so use_authtok
password required pam_deny.so

session optional pam_keyinit.so revoke
session required pam_limits.so
-session optional pam_systemd.so
session [success=1 default=ignore] pam_succeed_if.so service in crond quiet use_uid
session required pam_unix.so
session optional pam_sss.so

 

6. sudo vi /etc/security/pwquality.conf

minlen = 8
dcredit = 1
ucredit = 1
lcredit = 1
ocredit = 1
maxrepeat = 3
maxclassrepeat = 3
usercheck = 1

 

7. sudo touch /etc/cron.allow

    sudo chmod 640 /etc/cron.allow /etc/cron.deny /etc/at.deny

    sudo vi /etc/cron.allow

root
mirdate

 

8. sudo chmod -s /usr/bin/chage /usr/bin/gpasswd /sbin/unix_chkpwd /usr/bin/at /usr/bin/newgrp /usr/bin/write /usr/bin/chfn /bin/mount /bin/umount /usr/sbin/lockdev

 

9. sudo vi /etc/pam.d/su

auth required pam_wheel.so use_uid #주석해제

 

10. sudo usermod --groups wheel <사용자ID>

sudo usermod --groups wheel mirdate

 

11. sudo vi /etc/motd

*************************************************************
*                     !!! WARNING !!!                       *
*         All Connections are monitored and recorded        *
* Disconnect IMMEDIATELY if you are not an authorized user! *
*************************************************************

 

12. sudo vi /etc/issue.net

*************************************************************
*                     !!! WARNING !!!                       *
*         All Connections are monitored and recorded        *
* Disconnect IMMEDIATELY if you are not an authorized user! *
*************************************************************

\S
Kernel \r on an \m

 

13. sudo dnf install chrony

      sudo vi /etc/chrony.conf

server time.google.com iburst
server time.nist.gov iburst
server time.bora.net iburst
server time.kriss.re.kr iburst
server time.windows.com iburst

 

- 서비스활성화 : sudo systemctl enable chronyd

- 서비스시작 : sudo systemctl start chronyd

- 서비스상태확인 : sudo systemctl status chronyd

 

       sudo chronyc tracking

       sudo chronyc ntpdata

728x90

https://www.youtube.com/watch?v=ahNyJgDZmkc&t=4222s

 

728x90

pacman을 사용하여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할 때 오류가 발생하여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았다.

 

 

오류 : {PACKAGE_NAME} : signature from "{DEVELOPER_NAME} ({DEVELOPER_ID}) <{DEVELOPER_EMAIL_ADDRESS}>" is unknow trust

:: {PACKAGE_PATH_AND_NAME} 파일이 깨졌습니다(꾸러미가 잘못되었거나 손상되었습니다. (PGP 서명)).

삭제하시겠습니까? [Y/n]

 

 

삭제여부에서 "Y"를 입력해도 아래 오류메시지가 나타나면서 업그레이드되지 않는다.

 

 

오류: 커밋 트랜잭션에 실패했습니다(꾸러미가 잘못되었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여 업그레이드한 꾸러미가 없습니다.

 

 

방법

  1. $ sudo rm -r /etc/pacman.d/gnupg
  2. $ sudo pacman -Sy gnupg archlinux-keyring
  3. $ sudo pacman-key --init
  4. $ sudo pacman-key --populate archlinux
  5. $ sudo pacman-key --refresh-keys
  6. $ sudo pacman -Sc
  7. $ sudo pacman -Su

 

 

 

참고

728x90

원문출처 : https://m.blog.naver.com/sua96/220786078079

 

감가상각, 대손상각... 도대체 상각이란 무엇인가?

회계를 접하면서 제일 이해가 가지 않고 복잡한 것이 감가상각, 대손상각이었습니다. 회계를 전공한 사람은...

blog.naver.com

 

회계를 접하면서 제일 이해가 가지 않고 복잡한 것이 감가상각, 대손상각이었습니다.

 

회계를 전공한 사람은 쉽게 이해할 지 모르겠지만 비전공자에겐 정말 어려운 문제이고...

제가 아는 몇몇 사람들에게 물어보아도 누구 하나 시원하게 대답해주는 사람도 없고...ㅜㅜ

 

 

혹시라도 저 같은 사람 있을까봐 같이 공부하는 심정으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상각 (却) 

원뜻은 보상하여 갚아준다는 뜻인데 그 뜻이 더 어렵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상각을 '재산이 사라지는 것'이라고 정의하겠습니다

 

 

시원한 얼음을 냉장고에서 꺼내어 책상위에 올려놓았는데 몇시간 후에 보니 없어졌습니다.

증발해 버린겁니다.

우리의 재산도 때로는 이렇게 증발해버리고 사라져 버리기도 합니다.

8년전에 3천만원주고 자동차를 샀습니다.  요즘 중고차 시세를 알아보니 1천만원 정도 한다고 합니다.

무사고 차이고 고장난적도 거의 없는데 나의 애마의 가치가 2천만원이나 증발된 것입니다.

 

이렇게 2천만원 만큼 가격이 사라져 낮아진것을

"2천만원 만큼 감가상각이 발생했다" 라고 합니다.

감가...가격이 낮아짐,  상각..사라짐

즉 감가상각은 가격이 낮아져 가치가 사라졌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내 재산이 얼마인지 알아보려고 할때 자동차의 가격은 8년전 구입가격 3천만원으로 계산하지 않고

지금 팔았을때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시장가격으로 계산할 것입니다.

회사에서 자산을 평가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8년전에 1억주고 기계를 샀는데  8년동안 사용하다보니 요즘은 고장도 자주 나고 팔아도 고철값만

받을 정도입니다.

회사의 재산을 파악할 때 이 기계의 자산가치는 거의 제로에 가까울 것입니다.

 

이렇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줄어들기 때문에 회계하는 사람은 매기간마다 줄어든 재산만큼

감가상각비라는 항목으로 비용으로 처리하여 그 재산을 감액시켜줍니다.

 

감가상각비, 감가상각충당금 등 할 이야기가 많기에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 말고도 사라지는 상각이 있습니다.

 

아파트의 벽지공사 회사를 하는 친구가 있는데 지난해 건설회사가 부도가 나는 바람에 2억을 못받게 되었다고

합니다.

친구회사와 같이 물품을 팔거나 일을 하였으면 당연히 돈을 받아야 하는데 이 돈을 못받게 된겁니다.

2억이라는 돈이 한순간에 사라져버린거죠.

친구가 받아놓은 어음은 한 순간 종이 조각이 되 버린 겁니다.

 

이렇게 받을 돈이 사라져버린 것을 대손상각이라고 합니다.

 

회사에서 재산을 파악할때 현금이나 예금, 매출채권 등의 금융재산이 있는데 현금이나 예금은

사라질 확율이 적지만 물건팔고 받은 어음이나,

물건을 팔았는데 어음도 받지 못한 받을 돈은 안심하기에 위험성이 많습니다.

현대자동차에서 받은 어음은 좀 마음이 놓이는데...

지금 부도위기에 있는 회사에서 받은 어음은 가슴이 조마조마 합니다.

 

이렇게 부도가 나고, 거래처 사장이 도망가고, 법정관리에 들어가고....

이래서 못받는 돈, 사라져버린 돈을 대손상각이라고 하고....

회계에서는 이러한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위험한 어음이나 외상매출금에 대해서는

대손상각충당금을 설정해 놓아서

어음을 100억 가지고 있더라도 실제로 우리의 재산은 95억정도로 계산을 하게 되는 겁니다.

 

이렇게 감가상각충당금, 대손상각충당금을 매년 설정해 놓기에 기간이 지나서 사라지는 비용이나

부도가 나는 어음이 생겨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충당금은 보험과 같은 존재이지요...

'기타 > 금융(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0) 2024.05.25

+ Recent posts